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한국어 맞춤법 교정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6588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맞춤법 교정장치는 소스문장을 이용하여 노이즈 문장을 생성하는 노이즈 생성부, 상기 노이즈를 포함하는 교정전 문장이 입력되는 입력부, 교정후 문장이 입력되는 타겟부 및 상기 교정전 문장과 상기 교정후 문장으로 이루어진 말뭉치를 이용하여 기계번역을 수행하는 학습부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부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기반으로 기계번역 훈련을 수행한다.
Int. CL G06F 40/20 (2020.01.01) G06F 40/40 (2020.01.01)
CPC G06F 40/232(2013.01) G06F 40/5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47120 (2019.11.15)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59540 (2021.05.2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1.15)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희석 서울특별시 성북구
2 박찬준 서울특별시 송파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홍석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구로동, 코오롱싸이언스밸리*차)(동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1.15 수리 (Accepted) 1-1-2019-1176472-4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한국어 맞춤법 교정장치로서,소스문장을 이용하여 노이즈 문장을 생성하는 노이즈 생성부;상기 노이즈를 포함하는 교정전 문장이 입력되는 입력부;교정후 문장이 입력되는 타겟부; 및상기 교정전 문장과 상기 교정후 문장으로 이루어진 말뭉치를 이용하여 기계번역을 수행하는 학습부를 포함하되,상기 학습부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기반으로 기계번역 훈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맞춤법 교정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노이즈 생성부는 발음나는대로 소스문장의 노이즈를 생성하는 제1 노이즈 생성모듈(G2P, Grapheme to Phoneme);소스문장에서 자모단위를 랜덤하게 변형하여 노이즈를 생성하는 제2 노이즈 생성모듈; 및단어단위 오탈자 리스트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생성하는 제3노이즈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맞춤법 교정장치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2 노이즈 생성모듈은 문자열을 삽입, 삭제, 변경하는 연산을 기반으로 수회의 연산을 통해 문자열의 유사도를 다루는 알고리즘인 편집거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맞춤법 교정장치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2 노이즈 생성모듈은 자음은 자음으로, 모음은 모음으로 변경, 추가 또는 삭제하여 노이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맞춤법 교정장치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학습부는 문장부호가 없는 교정전 문장과 문장부호가 있는 교정후 문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문장부호를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맞춤법 교정장치
6 6
맞춤법 교정장치에서 수행되는 한국어 맞춤법 교정방법으로서,(a) 소스문장과 교정후 문장을 입력받는 단계;(b) 소스문장을 이용하여 노이즈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c) 상기 노이즈 문장을 포함하는 교정전 문장과 상기 교정후 문장을 포함하는 말뭉치를 이용하여 기계번역 훈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맞춤법 교정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b)단계는 발음나는대로 소스문장의 노이즈를 생성하고, 소스문장에서 자모단위를 랜덤하게 변형하여 노이즈를 생성하며, 단어단위 오탈자 리스트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맞춤법 교정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학ICT연구센터지원사업 Human-inspired 복합지능 원천기술 연구 및 인력양성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원천)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 한국어 지능형 시스템을 위한 핵심 응용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