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태양광 발전의 출력 신뢰성을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조절 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663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태양광 발전의 출력 신뢰성을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조절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조절 장치는 태양광 발전기의 익일 발전량을 예측하는 발전량 예측기; 상기 예측된 익일 발전량에 기초하여 시간 단위로 목표 출력을 결정하고 태양광 발전에 이용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목표 출력을 수정하는 목표 출력 생성기; 상기 목표 출력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기 및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계통으로의 출력에 기준이 되는 출력 기준을 시간 단위로 생성하는 실시간 출력 기준 생성기; 및 상기 계통으로의 출력이 상기 출력 기준을 따르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기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2J 7/35 (2006.01.01) H02J 3/38 (2006.01.01) H02S 40/38 (2014.01.01)
CPC H02J 7/35(2013.01) H02J 3/383(2013.01) H02S 40/38(2013.01) Y04S 10/50(2013.01) Y02E 10/56(2013.01) Y04S 10/123(2013.01) Y04S 10/1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47320 (2019.11.18)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59917 (2021.05.2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허세완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완기 대전광역시 서구
3 한진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1.18 수리 (Accepted) 1-1-2019-1177969-0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태양광 발전기의 익일 발전량을 예측하는 발전량 예측기;상기 예측된 익일 발전량에 기초하여 시간 단위로 목표 출력을 결정하고 태양광 발전에 이용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목표 출력을 수정하는 목표 출력 생성기;상기 목표 출력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기 및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계통으로의 출력에 기준이 되는 출력 기준을 시간 단위로 생성하는 실시간 출력 기준 생성기; 및상기 계통으로의 출력이 상기 출력 기준을 따르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기를 포함하는 출력 조절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발전량 예측기는,태양광 발전기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수집한 정보 및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딥러닝을 통해 익일 발전량을 예측하는 출력 조절 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목표 출력 생성기는,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보다 충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목표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보다 덜 충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목표 출력을 감소시키는 출력 조절 장치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실시간 출력 기준 생성기는,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보다 충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출력 기준을 상기 목표 출력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보다 덜 충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출력 기준을 상기 목표 출력보다 낮게 설정하는 출력 조절 장치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방전 제어기는,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계통으로의 출력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계통으로의 출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계통으로의 출력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계통으로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출력 조절 장치
6 6
태양광 발전기의 익일 발전량을 예측하는 단계;상기 예측된 익일 발전량에 기초하여 시간 단위로 목표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태양광 발전에 이용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에 따라 목표 출력을 수정하는 단계;상기 목표 출력 및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기 및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계통으로의 출력에 기준이 되는 출력 기준을 시간 단위로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계통으로의 출력이 상기 출력 기준을 따르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 조절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익일 발전량을 예측하는 단계는,태양광 발전기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수집한 정보 및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딥러닝을 통해 익일 발전량을 예측하는 출력 조절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목표 출력을 수정하는 단계는,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보다 충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목표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보다 덜 충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목표 출력을 감소시키는 출력 조절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기준을 시간 단위로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보다 충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출력 기준을 상기 목표 출력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태보다 덜 충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출력 기준을 상기 목표 출력보다 낮게 설정하는 출력 조절 방법
10 10
제6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단계는,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계통으로의 출력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계통으로의 출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계통으로의 출력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계통으로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출력 조절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재생 비율 및 그리드 특성에 따른 그리드 안정화 기술용 ESS 최적 연계 기술 개발 및 실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