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공성 유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착제

  • 기술번호 : KST202100712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다공성 유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착제가 개시된다. 상기 다공성 유기 구조체는 3개 이상의 디페닐포스페이트가 프리델-크래프트 반응(Friedel-Crafts reaction)에 의해 3개 이상의 친전자 치환이 가능한 방향족 고리에 결합된 구조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B01J 20/26 (2006.01.01) B01J 20/28 (2006.01.01) C02F 1/28 (2006.01.01) C02F 103/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026802 (2020.03.03)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65008 (2021.06.0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52722   |   2019.11.25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3.03)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정권 서울특별시 관악구
2 안선영 인천광역시 서구
3 라비 시누 성남시 수정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리앤목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언주로 **길 **, *층, **층, **층, **층(도곡동, 대림아크로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3.03 수리 (Accepted) 1-1-2020-0227854-59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11.25 수리 (Accepted) 4-1-2020-5265458-48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3.1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3개 이상의 디페닐포스페이트가 프리델-크래프트 반응(Friedel-Crafts reaction)에 의해 3개 이상의 친전자 치환이 가능한 방향족 고리에 결합된 구조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공성 유기 구조체(porous organic structure)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친전자 치환이 가능한 방향족 고리가 3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4개 이상의 벤젠 고리를 갖는, 다공성 유기 구조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친전자 치환이 가능한 방향족 고리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다공성 유기 구조체:003c#화학식 1003e# 003c#화학식 2003e#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유기 구조체가 하기 화학식 4 또는 5로 표시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다공성 유기 구조체:003c#화학식 4003e#003c#화학식 5003e#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유기 구조체가 미세공극, 중공극, 또는 이들 조합을 포함하는, 다공성 유기 구조체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유기 구조체의 전체 기공부피가 0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유기 구조체의 BET 비표면적이 580 m2/g 이상인, 다공성 유기 구조체
8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공성 유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흡착제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가 하수 또는 폐수 중에 존재하는 약품 및 개인 위생용품(pharmaceutical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처리에 사용되는, 흡착제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가 중추신경흥분제, 소염진통제, 수면제, 항생제, 고혈압치료제, 또는 이들 조합에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한, 흡착제
11 11
제8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가 카페인에 대한 흡착용량이 240 mg/g 이상인, 흡착제
12 12
제8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가 재생 가능한, 흡착제
13 13
제8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가 pH 0
14 14
제8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제가 250 ℃에서 열처리 후 초기 중량 대비 중량손실율이 10% 이하인, 흡착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기초연구사업/신진연구자지원사업 수중 과불화합물의 처리를 위한 촉매환원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