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고체 전지용 복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858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분자 기반의 고체전해질을 유동성 있는 상태로 전극 내에 침윤시킨 후 경화시킨 복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활물질, 결착제, 전도성 소재로 구성된 전극에 경화 가능한 고분자 고체전해질 소재를 유동성 있는 액상으로 균일하게 침윤시킨 후 경화 과정을 거쳐 전극 활물질과 고체전해질 계면간 활성 면적 증대 및 계면 저항이 최소화된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전극을 전고체전지의 전극으로 사용시 전고체전지의 고출력화, 고용량화 및 장수명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t. CL H01M 4/13 (2010.01.01) H01M 4/62 (2006.01.01) H01M 4/139 (2010.01.01) H01M 4/04 (2006.01.01) H01M 10/0565 (2010.01.01) H01M 10/0585 (2010.01.01) H01M 10/0525 (2010.01.01)
CPC H01M 4/13(2013.01) H01M 4/62(2013.01) H01M 4/139(2013.01) H01M 4/043(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85(2013.01) H01M 10/0525(2013.01) H01M 2300/008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65880 (2019.12.12)
출원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74811 (2021.06.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2.12)
심사청구항수 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규남 대전광역시 서구
2 양정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류명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신현섭 대전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노경규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길 ** 매강빌딩 *층(에이치앤에이치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2.12 수리 (Accepted) 1-1-2019-1286740-80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5.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8.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041022-3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9.01 수리 (Accepted) 4-1-2020-5197654-62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3.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199547-26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5.1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0534024-38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5.10 수리 (Accepted) 1-1-2021-0534023-9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전극 활물질, 결착제, 전도성 소재로 구성된 전극에 경화 가능한 고분자 고체전해질 전구체를 유동성 있는 액상으로 균일하게 침윤시킨 후 경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고체전해질 전구체는 리튬염, 유기 용매,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리튬염은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CF3SO2)2N, LiC4F9SO3, LiAlO4, LiAlCl4, LiN(CxF2x+1SO2)(CyF2y+1SO2)(단 x, y는 자연수), LiCl 및 Li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유기 용매는 숙시노니트릴(Succinonitrile), 세바코니트릴(Sebaconitrile), PAN,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PC; polyethylene carbonate), 에틸렌 카보네이트(EC; ethylene carbonate), 디메틸에틸 카보네이트(DMC; dimethylethyle carbonate),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Ethylemethyle carbonate), 및 양이온으로 이미다졸륨(imidazolium), 피롤리디늄(pyrrolidinium), 암모늄(ammonium) 또는 피페리디늄(piperidinium)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etrafluoroborate),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bis(fluorosulfonyl)imide), 비스(플루오로설포닐)아미드(bis(fluorosufonyl)amide) 또는 플루오로포스페이트(fluorophosphate)를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모노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PEGDMA)),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diacrylate (PEGDA)), 에톡실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ETPTA)),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판올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propoxylate triacrylate (TPPTA)),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tetra(3-mercaptopropionate) (PETMP)),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PU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
6 6
제2항에 있어서,상기 광개시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다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diphenyl phosphine oxide(TPO)),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DMPA)),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2-Hydroxy-2-methylpropiophenone(HMPP)), 및 2-클로로벤조페논(2-chlorobenzopheno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
7 7
i) 전극 활물질 소재, 결착제, 전도성 소재를 혼합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ii) 고분자 고체전해질 전구체를 유동성 있는 액체 상태로 혼합 제조하는 단계; iii) 유동성 있는 액체 상태의 고분자 고체전해질 전구체를 제조된 전극 내로 도포 및 침윤시키는 단계; iv) 전극 내로 침윤된 고분자 고체전해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v) 전극을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의 제조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ii)의 고분자 고체전해질 전구체는 리튬염, 유기 용매,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전극의 제조방법
9 9
제1항에 따른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양극;벌크(bulk) 고체전해질; 및제1항에 따른 전고체 리튬 전지용 복합 음극;이 차례로 적층된,전고체 리튬 전지
10 10
i) 전극 활물질 소재, 결착제, 전도성 소재를 혼합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ii) 고분자 고체전해질 전구체를 유동성 있는 액체 상태로 혼합 제조하는 단계; iii) 유동성 있는 액체 상태의 고분자 고체전해질 전구체를 제조된 전극 내로 도포 및 침윤시키는 단계; iv) 전극 내로 침윤된 고분자 고체전해질을 경화시키는 단계;v) 전극을 압착시키는 단계; 및vi) 복합 양극, 벌크(bulk) 고체전해질, 복합 음극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 전지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창의형융합연구사업 쾌적하고 안전한 전기자동차용 소프트 고체전해질 기반 바이폴라형 이차전지 핵심기술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