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성게 모양 백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당화알부민의 고감도 측정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8644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성게 모양 백금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고감도의 당화알부민 측정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Peroxidase 모방 촉매 활성을 가지는 성게 모양 백금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혈장 내 당화 알부민의 농도에 보다 민감하고 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당뇨병 진단 및 추적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G01N 33/543 (2006.01.01) G01N 33/536 (2006.01.01) G01N 31/22 (2006.01.01) G01N 27/327 (2006.01.01)
CPC G01N 33/54346(2013.01) G01N 33/536(2013.01) G01N 31/22(2013.01) G01N 27/3277(2013.01) G01N 2333/765(2013.01) G01N 2800/04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69089 (2019.12.17)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77434 (2021.06.2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2.17)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기훈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최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호(서초동, 중앙로얄오피스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2.17 수리 (Accepted) 1-1-2019-1305756-0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6.1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8.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077479-60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4.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334725-36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6.24 접수중 (On receiving) 1-1-2021-0728564-10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6.24 수리 (Accepted) 1-1-2021-0728565-6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알부민 측정방법:(1) 혈장 샘플과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이 결합된 비드접합체를 반응시켜 당화알부민-비드접합체의 제1복합체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2) 상기 (1) 단계 이후의 반응물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하여 제1복합체를 수득하는 단계;(3) 상기 제1복합체와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이 수식된 성게 모양 백금 나노입자(urchin-like Pt nanoparticle)을 반응시켜 제1복합체-나노자임의 제2복합체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 및(4) 상기 (3) 단계 이후의 반응물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하여 제2복합체를 회수하는 단계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비드는 아가로스(agarose), 셀룰로스(cellulose), 세파로스(sepharose), 폴리스틸렌(polystyre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톨루엔(polyvinyl toluene), 라텍스 비드, 및 유리 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1) 단계와 (3) 단계의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은 각각 보론산(boronic acid),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및 항체 (antibod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은 보론산이고, 상기 (3) 단계의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은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성게 모양 백금 나노입자는 5nm 이하의 백금 씨드(Pt seed)를합성한 후 상기 백금 씨드와 0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방법은 상기 (4) 단계 이후에 (a) 회수된 제2복합체에 3,3',5,5'-테트라메틸벤지딘(3,3',5,5'-tetramethylbenzidine, TMB) 및 과산화수소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 시료의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TMB는 0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방법은 상기 (4) 단계 이후에 (b) 회수된 제2복합체에 과산화수소를 혼합한 후 티오닌(thionine) 및 과산화수소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 시료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ITO(indium tin oxide) 전극으로 순환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방법
9 9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이 결합된 비드접합체와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이 수식된 성게 모양 백금 나노입자(urchin-like Pt nanoparticle)를 포함하는, 당화알부민 측정 키트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아가로스(agarose), 셀룰로스(cellulose), 세파로스(sepharose), 폴리스틸렌(polystyre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톨루엔(toluene), 라텍스 비드, 및 유리 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알부민 측정 키트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은 각각 보론산(boronic acid),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및 항체 (antibod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알부민 측정 키트
12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에 결합된 당화알부민 결합물질은 보론산이고, 상기 나노입자에 수식된 결합물질은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알부민 측정 키트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2013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중점연구소지원(이공계분야) 나노센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