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NMR 분석을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캡슐의 내구성 및 분해성 평가 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9071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분자 분해 양상 확인이 가능한 NMR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마이크로캡슐의 분해성 및 내구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가방법은 짧은 기간, 실험실 스케일 내에서 분석이 가능하며 여러가지 종류의 벽재물질을 사용한 마이크로캡슐의 분해성 및 안정성을 복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Int. CL G01N 24/08 (2006.01.01) A61K 9/5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78877 (2020.12.18)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80260 (2021.06.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72358   |   2019.12.2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2.18)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영복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2 김지원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3 루손퀴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4 조동혁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5 정지혜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6 두우엔티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호(서초동, 중앙로얄오피스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18 수리 (Accepted) 1-1-2020-1382837-53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12.21 수리 (Accepted) 1-1-2020-1387098-80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4.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분해 처리 전의 마이크로캡슐의 수소핵자기공명분광분석(1D-1H-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수득한 제1선폭과, 분해 처리 후의 마이크로캡슐의 1D-1H-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수득한 제2선폭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의 내구성 및 분해성 평가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은, 마이크로캡슐의 수소핵자기공명분광분석(1D-1H-NMR) 스펙트럼을 수득하는 단계(S1);S1 단계 후, 마이크로캡슐을 분해 처리하는 단계(S2);상기 분해 처리된 마이크로캡슐의 1D-1H-NMR 스펙트럼을 수득하는 단계(S3);상기 S1 단계의 스펙트럼 및 S3 단계의 스펙트럼으로부터, 벽재 물질의 피크를 선정하는 단계(S4);상기 S1 단계의 스펙트럼의 선정된 피크에서 제1선폭(LW1)을 측정하는 단계(S5);상기 S3 단계의 스펙트럼의 선정된 피크에서, 제2선폭(LW2)을 측정하는 단계(S6); 및하기 수학식 1을 통해, 내구성 및 분해성을 확인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캡슐의 내구성 및 분해성 평가 방법:[수학식 1](|LW2-LW1|/LW1) × 100%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코어 물질 및 벽재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마이크로캡슐의 내구성 및 분해성 평가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벽재 물질은 하이드로에틸셀룰로스, 폴리락타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캡슐의 내구성 및 분해성 평가 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코어 물질은 오일 상인 것인, 마이크로캡슐의 내구성 및 분해성 평가 방법
6 6
제2항에 있어서,상기 분해 처리는, 분해효소 처리인 것인, 마이크로캡슐의 분해성 평가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분해효소는, 셀룰라제, 아밀라제, 및 알지네이트 리아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마이크로캡슐의 내구성 및 분해성 평가 방법
8 8
제2항에 있어서,상기 S4 단계는,S1 단계의 스펙트럼과 S3 단계의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특정 피크를 선정하는 것인, 마이크로캡슐의 내구성 및 분해성 평가 방법
9 9
제2항에 있어서,상기 S2 단계는, 분해효소를 1:0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1H-NMR 분석은 400 MHz 분광기로 수행되는 것인, 마이크로캡슐의 분해성 평가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중소벤처기업부 (주)대하맨텍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R&D) 실생활의 안전 및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생활용품용 생분해성·무자극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