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기화학 촉매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9072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금속을 포함하는 베이스 금속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금속 수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체를 수열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구조체를 황(S)을 포함하는 반응 가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 구조체의 표면의 산소(O)와 상기 반응 가스의 상기 황(S)을 교환시켜, 상기 베이스 금속의 산화물을 갖는 코어 구조체, 및 상기 베이스 금속의 황화물을 갖는 쉘 구조체를 갖는 촉매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1M 4/86 (2006.01.01) H01M 4/90 (2006.01.01) B01J 35/02 (2006.01.01) B01J 27/043 (2006.01.01) B01J 23/75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80126 (2020.12.21)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80267 (2021.06.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71737   |   2019.12.2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2.21)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방진호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2 김민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3 라주 토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상열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층 ****호(나눔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최내윤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동 ***호(나눔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21 수리 (Accepted) 1-1-2020-1391064-8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베이스 금속을 포함하는 베이스 금속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금속 수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체를 수열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구조체를 황(S)을 포함하는 반응 가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 구조체의 표면의 산소(O)와 상기 반응 가스의 상기 황(S)을 교환시켜, 상기 베이스 금속의 산화물을 갖는 코어 구조체, 및 상기 베이스 금속의 황화물을 갖는 쉘 구조체를 갖는 촉매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 방법
2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가스는 황화 수소(H2S)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황화 수소는 황(S) 및 수소(H)로 분해되되, 분해된 황(S)은 상기 베이스 구조체의 표면에 흡착되고, 분해된 수소(H)는 상기 베이스 구조체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 방법
3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된 수소(H)가 상기 베이스 구조체 내부로 침투되어 상기 베이스 금속의 산화물과 반응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 구조체에 복수의 기공(pore)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 방법
4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가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된 상기 베이스 구조체는, 제1 베이스 금속 산화물, 및 상기 제1 베이스 금속 산화물이 상기 베이스 구조체 내부로 침투된 수소(H)와 반응된 제2 베이스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 방법
5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쉘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구조체의 표면의 상기 산소(O)와 상기 반응 가스의 상기 황(S)이 교환된 제1 베이스 금속 황화물, 및 상기 제1 베이스 금속 황화물이 분해된 제2 베이스 금속 황화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 방법
6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금속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코발트(II) 질산(cobalt nitrate hexahydrate)이 용매와 혼합된 소스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용액을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의 제조 방법
7 7
제1 코발트 산화물, 및 상기 제1 코발트 산화물과 조성비가 다른 제2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core) 구조체; 및 상기 코어 구조체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1 황화 코발트 및 상기 제1 황화 코발트와 조성비가 다른 제2 황화 코발트를 포함하는 쉘(shell)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코발트 산화물, 상기 제2 코발트 산화물, 상기 제1 황화 코발트, 및 상기 제2 황화 코발트의 함량이 제어되어, 산소 발생 반응(oxygen evolution reaction, OER)에서 산소 발생 효율이 향상되는 전기화학 촉매
8 8
제7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코발트 산화물은 각각 Co3O4 및 CoO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황화 코발트는 각각 Co3S4 및 CoS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
9 9
제8 항에 있어서, 49 wt% 이상의 상기 제1 코발트 산화물, 40 wt% 이하의 상기 제2 코발트 산화물, 11 wt% 이하의 상기 제1 황화 코발트, 및 0
10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구조체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전기화학 촉매
11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구조체에 형성된 공극의 직경은, 12 nm 이하인 전기화학 촉매
12 12
금속을 포함하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 구조체; 상기 베이스 구조체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물질층; 및 상기 제1 물질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금속의 황화물을 포함하는 제2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
13 13
제12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은, 코발트(Co), 몰리브덴(Mo), 텅스텐(W), 또는 바나듐(V)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촉매
14 14
제12 항에 있어서,산소 발생 반응(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또는 수소 발생 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의 촉매로 사용되는 전기화학 촉매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2013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중점연구소지원(이공계분야) 나노센서 연구소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연평균연구비1억원이내) 원자 수준에서 제어된 금속 나노클러스터의 물성과 광전기화학적 거동간의 상관관계 규명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