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9294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막증류(MD) 공정과 혐기성 반응조 공정을 연계시킨 혐기성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서 막증류(MD) 공정의 분리막이 초발유성 및 초소수성 특성을 갖도록 중공사 분리막을 표면개질함으로써, 막젖음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초발유성-초소수성 특성을 갖도록 표면개질된 PVDF 중공사 분리막을 하폐수 처리를 위한 혐기성 하폐수 처리 공정과 막증류(MD) 공정의 연계 공정에 적용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혐기성 반응조의 장점인 메틴과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Int. CL B01D 69/08 (2006.01.01) B01D 67/00 (2006.01.01) B01D 71/34 (2006.01.01) B01D 65/02 (2006.01.01) B01D 65/08 (2006.01.01) B01D 61/36 (2006.01.01) C02F 1/44 (2006.01.01) C02F 3/28 (2006.01.01)
CPC B01D 69/08(2013.01) B01D 67/0093(2013.01) B01D 71/34(2013.01) B01D 65/02(2013.01) B01D 67/0095(2013.01) B01D 65/08(2013.01) B01D 61/364(2013.01) C02F 1/447(2013.01) C02F 3/288(2013.01) B01D 2325/38(2013.01) B01D 2323/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75403 (2019.12.26)
출원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82928 (2021.07.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2.26)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우윤철 서울특별시 송파구
2 최준석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3 박광덕 부산광역시 금정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세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 **층 ****호 한영국제특허법률사무소 (서초동, 서초지웰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2.26 수리 (Accepted) 1-1-2019-1342594-13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4.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6.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036812-77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2.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163467-95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4.2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0477678-06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4.23 수리 (Accepted) 1-1-2021-0477639-2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막증류(MD) 공정과 혐기성 반응조 공정을 연계시킨 혐기성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a)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재질의 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1)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PVDF 재질의 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1)을 원통형 모듈관(210) 내에 모듈화하는 단계;c) 상기 원통형 모듈관(230) 내의 상기 PVDF 재질의 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1)의 외주벽 표면에 표면개질 가교제를 소정 시간동안 도포하여 표면개질 가교제가 도포된 중공사 분리막(202)을 형성하는 단계;d) 상기 원통형 모듈관(230) 내의 상기 표면개질 가교제가 도포된 중공사 분리막(202)을 소정 시간동안 탈이온수(Deionized water)로 세정하는 단계;e) 상기 원통형 모듈관(230) 내의 상기 표면개질 가교제가 도포된 중공사 분리막(202)을 개방한 후, 건조기로 건조시키는 단계;f) 상기 건조된 표면개질 가교제가 도포된 중공사 분리막(202)의 외주벽 표면에 표면개질물질인 기능화된 실리카(Functionalized Silica)와 에탄올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도포하여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0)을 형성하는 단계;g) 상기 원통형 모듈관(230) 내의 상기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0)에 소정 시간동안 에탄올을 여과시키는 단계;h) 상기 원통형 모듈관(230) 내의 상기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0)에 소정 시간동안 탈이온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i) 상기 원통형 모듈관(230) 내의 상기 기능화된 실리카에 의해 표면개질이 이루어진 상기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0)을 개방한 후, 건조기 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0)은 혐기성 하폐수 처리 과정에서 유기물과 오염물질들이 분리막 표면에 붙지 못하는 막 파울링을 절감해주며, 초소수성의 특징에 따라 막젖음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PVDF 재질의 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1)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고분자를 유기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와 12:88%의 비율로 고분자 용액을 형성한 후, 중공사 분리막 제막장비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표면개질 가교제는 탈이온수(deionized water)에 1~3wt%의 폴리디알리디메틸암모늄[Poly(diallyidimethylammonium chloride): PDDA]를 용해시킨 PDDA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DDA는 양(+)전하 특성을 갖는 표면개질물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소정 시간은 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원통형 모듈관(230) 내의 상기 PVDF 재질의 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1)을 실링(Sealing) 처리한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흡입(Suction) 방식으로 상기 PDDA 용액이 상기 PVDF 재질의 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1)의 외주벽 표면에 도포된 후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소정 시간은 1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표면개질 가교제가 도포된 중공사 분리막(202)을 건조기 내에 60℃로 1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혼합용액은 음(-)전하를 띤 3~5wt%의 기능화된 실리카(Functionalized Silica) 및 95~97wt%의 에탄올을 혼합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화된 실리카(Functionalized Silica)는 표면 자유에너지가 낮은 작용기인 -CF3를 실리카(Silica)에 붙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원통형 모듈관(230) 내의 상기 표면개질 가교제가 도포된 중공사 분리막(202)은 실링(Sealing) 처리한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흡입(Suction) 방식으로 상기 기능화된 실리카(Functionalized Silica)와 에탄올을 혼합한 혼합용액이 상기 표면개질 가교제가 도포된 중공사 분리막(202)의 외주벽 표면에 도포된 후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의 소정 시간은 1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1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의 소정 시간은 1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기능화된 실리카에 의해 표면개질이 이루어진 상기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200)을 건조기 내에서 100℃로 2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15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혐기성 하폐수 처리를 위한 막증류 전용 초발유성-초소수성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 분리막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