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9562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중첩된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네트워크 확장 서비스 세트 제어 및 관리 시스템(vehicular network-extended service set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VN-ESS-CM)에서 관리되며, 중첩된 영역을 갖는 복수의 차량 환경에서의 노변장치(Road Side Unit, RSU)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차량 환경의 무선 엑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s, WAVE) 기본 서비스 세트(WAVE Basic Service Set, WBSS) 차량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WBSS는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CCH) 및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asic Safety Message Channel, BSMCH)이 기 설정된 동기 간격(Synchronization-Interval)을 가지고, 상기 CCH 및 상기 BSMCH에 대해 상기 동기 간격을 복수의 슬롯으로 분할한 시분할 다중 접속 슬롯(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slot)(T-슬롯)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CCH를 분할한 T-슬롯을 WBSS 별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CH의 첫 번째 T-슬롯은 상기 WBSS의 식별자(identification) 및 상기 CCH에서의 T-슬롯 사용수와 같은 WBSS의 TDMA 정보를 비콘(Beacon) 메시지로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밀도에서도 정상적으로 차량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어 더 높은 확장성, 신뢰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제공할 수 있다.
Int. CL H04W 74/00 (2009.01.01) H04W 74/04 (2019.01.01) H04W 74/08 (2019.01.01) H04W 72/04 (2009.01.01) H04J 3/16 (2006.01.01) H04W 4/40 (2018.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37417 (2020.10.22)
출원인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83157 (2021.07.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90175641   |   2019.12.26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0.22)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영탁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
2 황현동 경상북도 경산시 궁당로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형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길 **, 광성빌딩 **층 (역삼동)(케이엘피특허법률사무소)
2 김종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길 **, 광성빌딩 **층 (역삼동)(케이엘피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0.22 수리 (Accepted) 1-1-2020-1120316-11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12.07 수리 (Accepted) 4-1-2020-5277862-1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차량 네트워크 확장 서비스 세트 제어 및 관리 시스템(vehicular network-extended service set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VN-ESS-CM)에서 관리되며, 중첩된 영역을 갖는 복수의 차량 환경에서의 노변장치(Road Side Unit, RSU)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차량 환경의 무선 엑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s, WAVE) 기본 서비스 세트(WAVE Basic Service Set, WBSS) 차량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WBSS는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CCH) 및 기본 안전 메시지 채널(Basic Safety Message Channel, BSMCH)이 기 설정된 동기 간격(Synchronization-Interval)을 가지고, 상기 CCH 및 상기 BSMCH에 대해 상기 동기 간격을 복수의 슬롯으로 분할한 시분할 다중 접속 슬롯(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slot)(T-슬롯)을 구성하는 단계; 및상기 CCH를 분할한 T-슬롯을 복수의 상기 WBSS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CCH의 첫 번째 T-슬롯은 상기 WBSS의 식별자(identification) 및 상기 CCH에서의 T-슬롯 사용수와 같은 상기 WBSS의 TDMA 정보를 비콘(Beacon) 메시지에 포함시켜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T-슬롯을 구성하는 단계는,상기 BSMCH의 상기 T-슬롯을 복수의 미니 슬롯(mini-slot)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니 슬롯의 수는 상기 동기 간격 내에 상기 WBSS당 최대 수용 가능 차량 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콘 메시지는,상기 WBSS에 진입하여 차량 등록이 필요한 상기 차량의 등록 요청 시 필요한 상기 WBSS의 시분할 다중 접속 정보,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 SCH) 간격에 대한 상기 T-슬롯의 할당 정보, 상기 노변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노변 장치의 서비스 반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CH를 분할한 상기 T-슬롯을 상기 WBSS 별로 분배하는 단계는,중첩되어 있는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차량이 하나의 상기 CCH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WBSS의 정보를 상기 WBSS 별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상기 비콘 메시지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CCH를 분할한 T-슬롯을 복수의 상기 WBSS에 분배하는 단계는,상기 T-슬롯 구역을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의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을 이용하여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는,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임의로 선택하여 요청된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은 상기 노변장치는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할당하는 단계; 및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 요청 및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상기 할당된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T-슬롯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단계는,상기 신규 차량이 상기 노변장치와 상기 할당된 상기 T-슬롯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여 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신규 차량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는,상기 노변장치는 상기 신규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VN-ESS-CM으로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상기 VN-ESS-CM에서 상기 신규 차량의 연결이 승인되면 상기 노변장치로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상기 노변장치가 상기 신규 차량에 상기 BSMCH 내의 상기 T-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을 할당하고, 상기 T-슬롯 할당 정보 및 상기 연결 승인 메시지를 상기 CCH의 상기 T-슬롯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10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상기 CCH의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을 복수의 미니 슬롯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상기 WBSS 별로 배정된 상기 CCH 구역에서 첫번째 상기 T-슬롯으로 전달되는 상기 비콘 메시지에 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T-슬롯의 구성 및 상기 미니 슬롯 구성 정보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CSMA/CA 모드 슬롯 구간과 TDMA 모드 슬롯 구간으로 나누어 이용하는 단계는,상기 차량이 상기 WBSS 간의 중첩되는 영역에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진입하면 진입 예정인 상기 WBSS 구역의 차량들에게 상기 TDMA 모드 슬롯 구간의 상기 미니 슬롯을 사용하여 차량 안전 메시지(Basic Safety Massage, BSM)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다채널 접속 제어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보통신기술인력양성(R&D) 글로벌 자동차전장부품 기능안전 기반 SW 창의인력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