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암 및/또는 뇌질환 바이오마커인 EDB-FN 및 이를 표적하는 나노약물전달체

  • 기술번호 : KST2021010431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PEG2000-DSPE 중합지질 및 APTEDB-PEG2000-DSPE 중합체를 포함하는 마이셀 구조의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물전달체는 뇌 종양(brain tumor)에서 과발현되는 섬유결합소 엑스트라도메인 B(extradomain B of fibronectin, EDB-FN)를 표적하는 바, 뇌혈관장벽(BBB) 또는 뇌혈관 종양 장벽(BBTB)를 통과하여 뇌 종양 세포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이 로딩된 상기 약물전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종양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뇌 종양 내부에 축적되고 종양 세포 내부로 함입되어 특이적으로 종양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바, 뇌 종양 진단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t. CL G01N 33/68 (2006.01.01) G01N 33/574 (2006.01.01) A61K 9/51 (2006.01.01) A61K 47/69 (2017.01.01) A61K 47/62 (2017.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18153 (2021.02.09)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05819 (2021.08.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20537   |   2020.02.19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09)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2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규하 서울특별시 구
2 페이 얼 쏘 중국 ****** 광저우 쑨원대학 쑨
3 이정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호(서초동, 중앙로얄오피스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09 수리 (Accepted) 1-1-2021-0163830-19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1.09.10 접수중 (On receiving) 1-1-2021-1049803-7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PEG2000-DSPE 중합지질 및 APTEDB-PEG2000-DSPE 중합체를 포함하는 마이셀 구조의 약물전달체로서, 상기 APTEDB는 섬유결합소 엑스트라도메인 B(extradomain B of fibronectin, EDB-FN) 유전자(Entrez Gene ID: 2335)에 특이적 결합력을 나타내는 앱타이드인, 약물전달체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PEG2000-DSPE 중합지질 100 중량부 기준으로 APTEDB- PEG2000-DSPE 중합체를 1 내지 2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의 직경은 5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 또는 뇌혈관 종양 장벽(blood-brain tumor barrier, BBTB)을 통과하여 뇌 종양 세포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것인, 약물전달체
5 5
약물이 로딩된 제1항의 약물전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종양 진단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조영제 또는 항암제이고, 상기 항암제는 도세탁셀(Docetaxel), 할라벤(Halaven), 빈크리스틴(Vincristine), 시스플라틴(cisplat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비노렐빈(Vinorelv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토포테칸(Topotecan), 이리노테칸(Irinoteca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글리벡(gleevec), 카보플라틴(carboplatin), 발루비신(valrubicin), 플로타미드(flutamide), 젬시타빈(gemcitabin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프로카바진(Procarbazine), 로무스틴(Lomustine, CCNU; 1-(2-chloroethyl)-3-cyclohexyl-1-nitrosourea), 빈크리스틴(Vincristine) 및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뇌 종양은 성상세포종(astrocytoma), 다형성교모세포종(glioblastoma multiforme), 핍지신경교종(oligodendroglioma), 핍지교성상세포종(oligoastrocytoma), 상의세포종(ependymoma),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 혈관모세포종(hemangioblastoma), 뇌수막종(meningioma), 뇌하수체선종(pituitary adenoma), 두개인두종(craniopharyngioma), 및 맥락총유두종(choroid plexus papillom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8
(1)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APTEDB 및 Mal-PEG2000-DSPE을 유기용매에 1:2 몰비율로 혼합하고 중합반응을 유도하는 단계;(2) 상기 (1) 단계의 혼합 용액에서 APTEDB-PEG2000-DSPE 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3) 물, PBS, HBS 및 HB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에 상기 APTEDB-PEG2000-DSPE 중합체와 PEG2000-DSPE 중합지질을 혼합하여 마이셀 구조체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 및(4) 상기 (3) 단계의 혼합 용액을 여과하고 마이셀 구조체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 종양 특이적 약물전달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1) 단계의 APTEDB는 섬유결합소 엑스트라도메인 B(extradomain B of fibronectin, EDB-FN) 유전자(Entrez Gene ID: 2335)에 특이적 결합력을 나타내는 앱타이드인,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유기용매는 클로로포름,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에탄올, 메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자일렌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종양 특이적 약물전달체의 제조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불활성 조건 유지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종양 특이적 약물전달체의 제조방법
1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혼합 용액에서 APTEDB-PEG2000-DSPE 중합체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종양 특이적 약물전달체의 제조방법
12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APTEDB-PEG2000-DSPE 중합체와 PEG2000-DSPE 중합지질을 용매에 혼합하고 음파 파쇄를 수행하여 수화시켜 마이셀 구조체 형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종양 특이적 약물전달체의 제조방법
13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0
14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뇌 종양은 성상세포종(astrocytoma), 다형성교모세포종(glioblastoma multiforme), 핍지신경교종(oligodendroglioma), 핍지교성상세포종(oligoastrocytoma), 상의세포종(ependymoma),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 혈관모세포종(hemangioblastoma), 뇌수막종(meningioma), 뇌하수체선종(pituitary adenoma), 두개인두종(craniopharyngioma), 및 맥락총유두종(choroid plexus papillom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종양 특이적 약물 달체의 제조방법
15 15
제8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뇌 종양 특이적 약물전달체로서, 상기 약물 전달체는 5
16 16
제8항의 (1) 내지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 단계는 APTEDB-PEG2000-DSPE 중합체 및 PEG2000-DSPE 중합지질이 용해된 용액에 항암제를 추가로 혼합하여 마이셀 구조체 형성을 유도하는 것인, 뇌 종양 치료용 약제의 제조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를 최종 농도가 50 mg/mL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종양 치료용 약제의 제조방법
18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도세탁셀(Docetaxel), 할라벤(Halaven), 빈크리스틴(Vincristine), 시스플라틴(cisplat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비노렐빈(Vinorelv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토포테칸(Topotecan), 이리노테칸(Irinoteca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글리벡(gleevec), 카보플라틴(carboplatin), 발루비신(valrubicin), 플로타미드(flutamide), 젬시타빈(gemcitabin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프로카바진(Procarbazine), 로무스틴(Lomustine, CCNU; 1-(2-chloroethyl)-3-cyclohexyl-1-nitrosourea), 빈크리스틴(Vincristine) 및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종양 치료용 약제의 제조방법
19 19
제16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뇌 종양 치료용 약제로서, 상기 약제는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 또는 뇌혈관 종양 장벽(blood-brain tumor barrier, BBTB)을 통과하여 뇌 종양(brain tumor) 내부에 축적되고 종양 세포 내부로 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난치성 뇌종양의 광-테라노시스 효율 증진을 위한 나노약물의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난치성 뇌종양의 광-테라노시스 효율 증진을 위한 나노약물의 개발
3 다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고려대학교 혁신형의사과학자공동연구사업(R&D)(복지부, 과기정통부) 난치성 암 실시간 형광진단을 위한 능동표적 나노 약물 개발
4 다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고려대학교 혁신형의사과학자공동연구사업(R&D)(복지부, 과기정통부) 난치성 암 실시간 형광진단을 위한 능동표적 나노 약물 개발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세포주 NGS-임상 빅데이터 융합 분석 및 설치류 동물모델을 이용한 악성뇌종양 치료용 뇌질환치료제 약물스크리닝 및 유용성 검증
6 교육부 고려대학교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GEO 빅데이터와 환자검체에 기반한 악성뇌종양 특이 바이오마커 발굴 및 이를 이용한 악성뇌종양 표적 광역동-나노약물의 개발
7 교육부 고려대학교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GEO 빅데이터와 환자검체에 기반한 악성뇌종양 특이 바이오마커 발굴 및 이를 이용한 악성뇌종양 표적 광역동-나노약물의 개발
8 교육부 고려대학교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GEO 빅데이터와 환자검체에 기반한 악성뇌종양 특이 바이오마커 발굴 및 이를 이용한 악성뇌종양 표적 광역동-나노약물의 개발
9 교육부 고려대학교 개인기초연구(교육부) GEO 빅데이터와 환자검체에 기반한 악성뇌종양 특이 바이오마커 발굴 및 이를 이용한 악성뇌종양 표적 광역동-나노약물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