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양쪽 이온성 관능기를 가지는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11109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측쇄에 양쪽 이온성(Zwitterionic) 관능기를 가지는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재용 나노섬유는 양쪽 이온성 관능기에서 유래하는 높은 쌍극자 모멘트를 가져 미세먼지(PM) 입자의 중합체 표면에 대한 결합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PM 입자에 대한 높은 여과 효율 (003e# 99.9 %)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낮은 공기 흐름 저항성, 우수한 항균성을 가져 공기청정기 필터, 차량용 공기 정화 필터 등의 핵심 소재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B01D 39/16 (2006.01.01) D01F 6/28 (2006.01.01) D01F 6/30 (2006.01.01) D01F 6/36 (2006.01.01) D01F 6/38 (2006.01.01) C08F 8/34 (2006.01.01) C08F 212/08 (2006.01.01) C08F 220/34 (2006.01.01) C08F 220/44 (2006.01.01) D01D 5/00 (2006.01.01)
CPC B01D 39/1623(2013.01) D01F 6/28(2013.01) D01F 6/30(2013.01) D01F 6/36(2013.01) D01F 6/38(2013.01) C08F 8/34(2013.01) C08F 212/08(2013.01) C08F 220/34(2013.01) C08F 220/44(2013.01) D01D 5/003(2013.01) B01D 2239/025(2013.01) B01D 2239/0631(2013.01) B01D 2239/10(2013.01) D10B 2505/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34397 (2020.03.20)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18315 (2021.09.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3.20)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석 광주광역시 북구
2 쿠마르 산토스 광주광역시 북구
3 정병주 광주광역시 북구
4 오혜민 광주광역시 북구
5 장요셉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정수 대한민국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방이동) *층(이수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3.20 수리 (Accepted) 1-1-2020-0296030-5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측쇄에 양쪽 이온성 관능기를 가지는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이온성 관능기는 설포베타인(sulfobetaine)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는, 폴리스티렌-co-폴리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styrene-co-poly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co-poly (acrylonitri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에 양쪽 이온성 관능기를 가지는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 [화학식 1](상기 화학식에서 l은 1~1500, m은 1~1500, n은 1~2000, p는 0~1500 임)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에 양쪽 이온성 관능기를 가지는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 [화학식 2](상기 화학식 2에서, R1 , R2 및 R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9의 알킬이고, l은 1~1500, m은 1~1500, n은 1~2000, p는 0~1500 임)
6 6
제1항에 있어서, 섬유 직경이 150 ~ 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
7 7
(a) 스티렌 단량체,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중합시켜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의 측쇄에 양쪽 이온성 관능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c) 측쇄에 양쪽 이온성 관능기를 가지는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를 전기방사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a) 스티렌 단량체,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중합시켜, 폴리스티렌-co-폴리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폴리 (아크릴로니트릴) (ABC)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스티렌-co-폴리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폴리 (아크릴로니트릴) 랜덤 공중합체와 1,3-프로판설톤을 반응시켜 측쇄에 설포베타인(sulfobetaine) 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c) 측쇄에 설포베타인(sulfobetaine) 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co-폴리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폴리 (아크릴로니트릴) (ABC) 랜덤 공중합체를 전기방사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필터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과학기술원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고기능성 필터용 유·무기 필터소재 및 나노섬유필터 연구개발(미세먼지 저감 필터소재 및 생활보호 제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