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세포사멸 유도용 기체 전구체를 담지한 나노입자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1012737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기체 전구체를 함유하는 나노입자(나노기포), 이에 기반한 항암용 조성물 및 상기 나노기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암 세포의 물리적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초음파 매개 항암제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기포는 초음파 조사에 의해 종양 부위 선택적으로 RIPK3 및 MLKL 단백질 비의존적 네크롭토시스 유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암종 뿐만 아니라 RIPK3 및 MLKL의 발현이 억제되어 있는 악성 종양의 치료에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항암 치료를 활용한 면역원성 세포사멸보다 강력한 면역원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항암 병용치료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Int. CL A61K 9/51 (2006.01.01) A61K 31/02 (2006.01.01) A61K 41/00 (2020.01.01) A61K 39/395 (2006.01.01) A61P 35/00 (2006.01.01) A61P 35/04 (2006.01.01) A61K 39/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27001 (2021.02.26)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33132 (2021.11.0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51268   |   2020.04.28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26)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재형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엄우람 경기도 화성시 병점중앙로***번
3 고혜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4 송예리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26 수리 (Accepted) 1-1-2021-0239538-0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생체적합성의 다당류 고분자 물질 및 상기 고분자 물질에 접합되는 소수성의 저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nanoparticle); 및상기 나노입자에 담지되고, 초음파에 감응하여 기화되는 기체 전구체(gas precursor)를 포함하는, 나노기포(nanobubble)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나노기포는 상기 고분자 물질에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이 더 결합된 것인, 나노기포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물질은 카복시메틸 덱스트란(carboxymethyl dextran), 키토산(chitosan), 젤라틴(gelatin), 콜라겐(collagen), 마난(mannan),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ulfate), α-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긴산(alginate), 글리코겐(glycogen), 아밀로오스(amylose), 베타글루칸(β-glucan),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후코이단(fucoidan), 콘드로이틴(chondroiti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나노기포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분자 물질은 음파감작제, 광감작제, 담즙산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나노기포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음파감작제 또는 광감작제는 감작(sensitization) 시 활성산소종을 방출하는 것인, 나노기포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음파감작제는 클로린(chlorin) e6, 벤조클로린(benzochlorin),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 로즈 벤갈(Rose Bengal), 포토프린(Photofrin),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나프탈로시아닌(napthalocyanine), 인도시아닌 그린(indocyanine green), BODIPY(boron-dipyrromethene), 페오포르바이드 A(pheophorbide A), 베르딘(verdin), 헤마토포르피린(hematoporphyrin), 프로토포르피린(protoporphyri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나노기포
7 7
제4항에 있어서,상기 광감작제는 클로린 e6, 포토디타진, 라다클로린(Radachlorin), 2-(1-헥실에틸)-2-디비닐피로페오포르비드-α(HPPH)[2-(1-hexylethyl)-2-devinylpyropheophorbide-α(HPPH)], 프탈로시아닌(ZnPc, Zinc Phthalocyanine), 피오포바이드 a(Pheophorbide a) 화합물, 포르피린(phorphyrins)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나노기포
8 8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저분자 물질이 담즙산 유도체인 경우 상기 나노기포는 초음파 처리에 의해 호산구 및 NK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인, 나노기포
9 9
제4항에 있어서,상기 담즙산 유도체는 아미노화 5β-콜란산(aminated 5β-cholanic acid), 5β-콜란산(5β-cholanic acid), 콜산(cholic acid), 디옥시콜산(deoxycholic acid), 케노디옥시콜산(chenodeoxycholic acid), 리토콜산(lithocholic acid), 우르소콜산(ursocholic acid), 우르소디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이소우르소디옥시콜산(isoursodeoxycholic acid), 라고디옥시콜산(lagodeoxycholic acid), 글리코콜산(glycocholic acid), 글리코디옥시콜산(glycodeoxycholic acid), 글리코케노디옥시콜산(glycochenodeoxycholic acid), 디하이드로콜산(dehydrocholic acid), 히오콜산 (hyocholic acid), 히오디옥시콜산(hyodeoxycholic aci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나노기포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아미노화 5β-콜란산은 하기 (ⅰ) 내지 (ⅳ)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나노기포:(ⅰ) (R)-N-(2-아미노에틸)-4-((5S,8R,9S,10S,13R,14S,17R)-10,13-다이메틸헥사데카하이드로-1H-사이클로펜타[a]페난트렌-17-일)펜탄아마이드 ((R)-N-(2-aminoethyl)-4-((5S,8R,9S,10S,13R,14S,17R)-10,13-dimethylhexa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17-yl)pentanamide);(ⅱ) (3S,8S,9S,10R,13R,14S,17R)-10,13-다이메틸-17-[(2R)-6-메틸헵탄-2-일]-2,3,4,7,8,9,11,12,14,15,16,17-도데카하이드로-1H-사이클로펜타[a]페난트렌-3-아민 ((3S,8S,9S,10R,13R,14S,17R)-10,13-dimethyl-17-[(2R)-6-methylheptan-2-yl]-2,3,4,7,8,9,11,12,14,15,16,17-do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3-amine);(ⅲ) N-(아미노메틸)-4-((3R,5R,8R,9S,10S,12S,13R,14S,17R)-3,12-다이하이드록시-10,13-다이메틸헥사데카하이드로-1H-사이클로펜타[a]페난트렌-17-일)펜탄아마이드 (N-(aminomethyl)-4-((3R,5R,8R,9S,10S,12S,13R,14S,17R)-3,12-dihydroxy-10,13-dimethylhexa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17-yl)pentanamide); 및(ⅳ) (S)-4-((3R,5R,8R,9S,10S,13R,14S,17R)-3-아미노-10,13-다이메틸헥사데카하이드로-1H-사이클로펜타[a]페난트렌-17-일)펜타노익 애시드 ((S)-4-((3R,5R,8R,9S,10S,13R,14S,17R)-3-amino-10,13-dimethylhexa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17-yl)pentanoic acid)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체 전구체는 과불화탄소 계열인 것인, 나노기포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과불화탄소는 과불화펜탄(perfluoropentane: PFP), 과불화메틸펜탄 (perfluoro(2-methylpentane)), 과불화헥산(perfluorohexane: PFH), 과불화메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methylcyclohexane: PFm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나노기포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나노기포는 종양에서 초음파 조사에 의해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 유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인, 나노기포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네크롭토시스는 RIPK3(receptor-interacting protein kinase 3) 또는 MLKL(mixed lineage kinase domain-like protein) 비의존적인 것인, 나노기포
15 1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나노기포는 초음파 조사에 의해 종양 세포에서 DAMP(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의 유출을 유도하는 것인, 나노기포
16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나노기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암은 폐암, 위암, 신경교종, 간암, 흑색종, 신장암, 요로상피암, 두경부암, 메르켈세포종(Merkel-cell carcinoma), 전립선암, 혈액암, 유방암, 대장암, 결장암, 직장암, 췌장암, 뇌암, 난소암, 방광암, 기관지암, 피부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갑상선암, 골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8 18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면역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면역관문 억제제는 CTLA-4, PD-1 및 PD-L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0 20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DPP4 억제제(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 DPP4i)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21 21
제20항에 있어서,상기 DPP4 억제제는 DPP4 단백질의 활성 억제제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2 22
제21항에 있어서,상기 DPP4 단백질의 활성 억제제는 DPP-4에 대한 항체, 시타글립틴(sitagliptin), 빌다글립틴(vildagliptin), 삭사글립틴(saxagliptin), 리나글립틴(linagliptin), 두토글립틴(dutogliptin), 제미글립틴(gemigliptin), 알로글립틴(alogliptin), 아나글립틴(Anagliptin), 에보글립틴(evogliptin), 베르베린(Berberine), 디프로틴(Diprotin) 및 루피올(Lupe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23 23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나노기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중견연구(총연구비5억 초과) 미세환경 인식형 영상 유도 초음파역동 기반 암 치료용 멀티플랫폼 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