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SARS-CoV-2-유도성 패혈증의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 기술번호 : KST2021012738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자들은 COVID-19 환자 중 패혈증이 진행된 중증 환자에서 혈액 내 cfDNA 수준이 증가하고, DNase-1 수준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fDNA 또는 DNase-1을 이용하면, 혈액 등을 이용한 비침습적 방법을 통해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COVID-19 패혈증 환자의 혈액에 본 발명에 따른 외인성 DNase-1의 처리시 cfDNA 수준이 감소하고 내인성 DNase-1의 활성이 증가하며, 염증 관련 인자들의 수준이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외인성 DNase-1는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C12Q 1/34 (2006.01.01) C12N 9/22 (2006.01.01) A61K 38/46 (2006.01.01) A61P 31/14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38695 (2021.03.25)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33136 (2021.11.0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51741   |   2020.04.28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3.25)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천권 서울특별시 서초구 도구로
2 이원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3.25 수리 (Accepted) 1-1-2021-0350915-33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9.07 수리 (Accepted) 1-1-2021-1037167-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감염에 의한 패혈증 진단 또는 이의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a) 피검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cell-free DNA(cfDNA) 또는 deoxyribonuclease-1(DNase-1)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b) 단계 (a)에서 측정된 cfDNA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단계 (a)에서 측정된 DNase-1의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2 2
제1항에 있어서,하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c) 피검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citrullinated histone H3(Cit-histone H3)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d) 단계 (c)에서 측정된 Cit-histone H3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시료는 혈액, 혈장, 또는 혈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4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군은 정상인 또는 패혈증을 동반하지 않은 SARS-CoV-2 감염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5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피검체는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을 진단받은 적이 없는 피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6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정보제공방법은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 진단 또는 이의 예후 예측과 함께 피검체의 폐렴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정보제공방법
7 7
cfDNA 또는 DNase-1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조성물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DNase-1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DNase-1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조성물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cfDNA 또는 DNase-1 단백질의 수준은 혈액, 혈장, 또는 혈청 내 cfDNA 또는 DNase-1 단백질의 수준인 것인,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조성물
10 10
제7항 내지 제9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키트
11 1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 치료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a)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상기 시험물질을 처리한 시료와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시료에서 cfDNA 수준 또는 DNase-1 단백질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c) 대조군 시료와 비교해 상기 cfDNA 수준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DNase-1 단백질 활성을 증가시킨 시험물질을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 치료 물질로 선별하는 단계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시료는 혈액, 혈장, 또는 혈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3 13
DNase-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14
DNase-1 단백질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ARS-CoV-2 감염에 의한 패혈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입자는 poly(lactic-co-glycolic acid)(PLGA)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입자는 표면이 폴리도파민(polydopamine, PD)으로 코팅되어 있고, 상기 DNase-1 단백질은 폴리도파민을 통해 나노입자의 표면에 고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7 17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나노입자는 poly(ethylene glycol)(PEG)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8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a) cfDNA 수준을 감소시킴; (b) 내인성(endogenous) DNase-1 활성을 증가시킴;(c) 골수세포형 과산효소(Myeloperoxidase, MPO)의 활성을 억제함;(d) 호중구 엘라스타아제(Neutrophil elastase, NE)의 활성을 억제함;(e) 호중구의 세포외 트랩(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NET) 형성(NETosis)을 억제함;(e) 호중구의 NF-κb의 활성을 억제함; (f) 호중구에 의한, IL-1β, IL-6, IFN-γ, 및 TNF-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성을 감소시킴; 또는(g) 호중구의 복강 내 침윤을 억제함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신진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잠복암세포 은닉차단 나노입자와 주입형 면역활성 스캐폴드를 통한 암의 재발 및 전이 억제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