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줄기세포 배양용 배양 지지체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101275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지지체에 홍합 접착 단백질과 비트로넥틴 유래 펩타이드의 융합 펩타이드가 결합된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이를 이용한 줄기세포 장기 유지 배양 방법 및 심근세포 분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는 생체적합성 물질로 이루어져 안전하며,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를 사용하면 줄기세포의 전분화능을 유지하면서 10계대 이상 장기간 배양할 수 있고,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를 효율적으로 분화시킬 수 있다.
Int. CL C12N 5/0793 (2010.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18703 (2021.02.09)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32588 (2021.11.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51037   |   2020.04.27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09)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대성 서울특별시 성동구
2 연규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09 수리 (Accepted) 1-1-2021-0168286-4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i) 생체적합성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지지체; 및(ii) 상기 나노섬유에 결합된 홍합 접착 단백질과 비트로넥틴 유래 펩타이드의 융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나노섬유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톨산(PGA), 폴리[(락틱-co-글리콜산)](PLGA),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co-(3-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PHBV) 및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로 이루어진,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나노섬유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로 이루어진,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나노섬유는 직경이 100 내지 1000 ㎚인,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지지체는 두께가 1 내지 10 ㎛인,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지지체는 기공 크기가 0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로넥틴 유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합 접착 단백질은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전분화능 줄기세포인,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화능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 또는 역분화 줄기세포인,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는 줄기세포의 제노프리(xenofree) 배양에 사용되는,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13 13
제1항의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장기 유지 배양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의 장기 유지 배양 방법은 줄기세포를 10계대 이상 배양하는 것인, 줄기세포의 장기 유지 배양 방법
15 15
(a) 제1항의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b) 배양된 줄기세포를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 상에서 심근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는 줄기세포를 심근세포 분화 유도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인,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용 지지체는 직경이 500 내지 900 ㎚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생리활성물질 및 세포외기질 고정화를 통한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고효율 유지 배양 및 분화용배양기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