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101280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헤지호그 신호전달계 활성화를 통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헤지호그 신호전달계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개선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Smo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헤지호그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Gli1+ 세포의 증식 및 탈섬모화(deciliation)를 억제하여 표피 세포의 과증식을 억제하고, Th17 세포 매개성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선,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질환 등을 포함하는 염증성 또는 과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31/4436 (2006.01.01) A61K 31/47 (2006.01.01) A61K 31/5377 (2006.01.01) A61P 17/06 (2006.01.01) A61P 17/10 (2006.01.01) A61P 29/00 (2006.01.01) A61K 31/575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46012 (2021.10.28)
출원인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34276 (2021.11.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19-0159385 (2019.12.03)
관련 출원번호 1020190159385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3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경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2 고혁완 서울특별시 강남구
3 김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시형 서울특별시 서초구
5 이한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0.28 수리 (Accepted) 1-1-2021-1243367-6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헤지호그(Hedgehog) 신호전달계 활성화제(activat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성화제는 Smo(smoothened) 수용체의 아고니스트(agoni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성화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성화제는 Th17 세포-매개성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성화제는 표피 세포의 과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과증식 억제는 Gli1 발현 세포의 모낭주위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염증성 질환은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질환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8
헤지호그 신호전달계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9 9
헤지호그 신호전달계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국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암 관해 표적제어 혁신의약품 연구센터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세대학교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인체내 재생 조직 항상성 유지 기능에 있어서 섬모의 역할 규명 및 제어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