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 기술번호 : KST202101289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용매에 전구체들이 분산된 전구체 용액에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혼합한 후 이를 건조 및 열처리를 차례로 실시함으로써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상에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고르게 표면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전극 내 고체전해질과 양극 활물질간의 공극 생성을 억제하고, 고밀도화함으로써 고체전해질 및 활물질의 입자간 접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전극의 안정성 및 수명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Int. CL H01M 4/36 (2006.01.01) H01M 4/62 (2006.01.01) H01M 4/525 (2010.01.01) H01M 10/0565 (2010.01.01) H01M 10/052 (2010.01.01) C01B 25/14 (2006.01.01) C01G 51/00 (2006.01.01)
CPC H01M 4/366(2013.01) H01M 4/62(2013.01) H01M 4/52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2(2013.01) C01B 25/14(2013.01) C01G 51/42(2013.01) H01M 2300/0068(2013.01) C01P 2004/8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55052 (2020.05.08)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36594 (2021.11.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5.08)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훈기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정경윤 서울특별시 성북구
3 김형철 서울특별시 성북구
4 김형석 서울특별시 성북구
5 김상옥 서울특별시 성북구
6 류승호 서울특별시 성북구
7 임희대 서울특별시 성북구
8 이민아 서울특별시 성북구
9 김준태 서울특별시 성북구
10 신현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11 정민기 서울특별시 성북구
12 박재호 서울특별시 성북구
13 정지원 서울특별시 성북구
14 김민곤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5.08 수리 (Accepted) 1-1-2020-0467093-83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9.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상기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코팅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로,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황화물, 인 황화물 및 할로겐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구체 용액에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혼합하고, 이를 건조하여 혼합분말을 수득한 후 열처리하여 수득된 것인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은 LiCoO2, LiNi0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Li3PS4, Li7P3S11, Li6PS5F, Li6PS5Br, Li6PS5Cl 및 Li7P2S8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입자 크기가 0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X선 회절 분석 결과, 2θ가 ① 13° 내지 14° 범위, ② 16° 내지 18° 범위, ③ 24° 내지 26° 범위, ④ 27° 내지 29° 범위, ⑤ 30° 내지 32° 범위, ⑥ 43° 내지 45° 범위, ⑦ 46° 내지 48° 범위, ⑧ 52° 내지 54° 범위에서 제1 유효 피크, 제2 유효 피크, 제3 유효 피크, 제4 유효 피크, 제5 유효 피크, 제6 유효 피크, 제7 유효 피크 및 제8 유효 피크를 보이고;상기 (제1 유효 피크)/(제2 유효 피크)의 세기(intensity) 비율은 1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양극 활물질은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양극 활물질은 X선 회절 분석 결과, 2θ가 16° 내지 20° 범위, ② 35° 내지 37° 범위, ③ 38° 내지 40° 범위, ④ 44° 내지 47° 범위에서 제1 유효 피크, 제2 유효 피크, 제3 유효 피크 및 제4 유효 피크를 보이고;상기 (제1 유효 피크)/(제2 유효 피크)의 세기(intensity) 비율은 2
8 8
제1항의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용 양극
9 9
제8항의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제된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10 10
유기용매에 리튬 황화물 및 인 황화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혼합하여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전구체 용액에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혼합용액을 건조시켜 혼합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상기 혼합분말을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여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리튬 황화물 및 인 황화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리튬 황화물 및 인 황화물이 3~7:1 몰비로 혼합된 것인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리튬 황화물 및 인 황화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할로겐화 화합물을 더 포함하고,상기 혼합물의 인 황화물 대비 할로겐화 화합물을 1: 0
13 13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전구체 용액 0
14 14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온 내지 80 ℃에서 분당 회전수 100 내지 900 rpm 로 6 내지 24 시간 동안 혼합하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5 15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는 상온 내지 160 ℃에서 1 내지 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6 16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불활성 분위기는 아르곤, 수소, 질소, 헬륨, 네온, 제논 및 크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불활성 가스에서 수행하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7 17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열처리는 250 내지 800 ℃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8 18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리튬 황화물 및 인 황화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리튬 황화물 및 인 황화물이 4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리튬 황화물 및 인 황화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할로겐화 화합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리튬 황화물, 인 황화물 및 할로겐화 화합물은 5:1:2 몰비로 혼합된 것이고,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전구체 용액 5 중량% 및 상기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95 중량%를 포함하고,상기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분당 회전수 700 rpm으로 12시간 동안 수행하고,상기 혼합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는 120 ℃에서 2 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고,상기 불활성 분위기는 아르곤 가스에서 수행하고,상기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열처리는 550 ℃에서 3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창의형 융합연구사업 소프트 고체전해질 전지 양극 복합화 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NCM계 양극/고체 전해질 설계에 기반한 전고체 전지 핵심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