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처리 장치

  • 기술번호 : KST2022000273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수 처리 방법은 방사성 폐수를 증기조(200)에 유입하는 유입 단계(S100); 상술한 증기조(200)에 유입된 방사성 폐수의 상부에 태양광 흡수체를 위치시키고 태양광을 조사하여 상술한 방사성 폐수의 물을 증발시키는 증발 단계(S200); 상술한 증발 단계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방사능 수치 분석부(300)로 유입시킨 후 방사능 수치를 분석하고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방사성 물질 배출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방사능 수치 분석 단계(S300); 상술한 방사능 수치 분석 단계(S300)에서, 방사성 물질 배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술한 수증기를 배수부(400)로 배출하는 배출 단계(S400); 및 상술한 방사능 수치 분석 단계(S300)에서, 방사성 물질 배출 기준을 불만족하는 경우, 상술한 수증기를 응축기(500)로 이송하여 응축한 후, 응축수를 증기조(200)로 다시 집수하는 집수 단계(S500);를 포함한다.
Int. CL C02F 1/14 (2006.01.01) C02F 1/04 (2006.01.01) C02F 1/28 (2006.01.01) G21F 9/08 (2006.01.01) G21F 9/12 (2006.01.01) B01D 53/00 (2006.01.01)
CPC C02F 1/14(2013.01) C02F 1/048(2013.01) C02F 1/043(2013.01) C02F 1/285(2013.01) G21F 9/08(2013.01) G21F 9/12(2013.01) H02S 10/00(2013.01) B01D 53/0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50827 (2020.04.27)
출원인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원자력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32438 (2021.11.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4.27)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한국원자력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경진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찬우 경기도 의왕시 갈미로 *
3 배기현 충청북도 충주시
4 박규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윤인호 대전광역시 대덕구
6 양희만 대전광역시 유성구
7 김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플러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4.27 수리 (Accepted) 1-1-2020-0431796-8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7.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10.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174292-27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9.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746468-04
5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1.10.05 수리 (Accepted) 4-1-2021-5261638-12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11.04 수리 (Accepted) 1-1-2021-1272687-33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11.0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1272655-8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방사성 폐수를 증기조(200)에 유입하는 유입 단계(S100);상기 증기조(200)에 유입된 방사성 폐수의 상부에 태양광 흡수체(220)를 위치시키고 태양광을 조사하여 상기 방사성 폐수의 물을 증발시키는 증발 단계(S200);상기 증발 단계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방사능 수치 분석부(300)로 유입시킨 후 방사능 수치를 분석하고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방사성 물질 배출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방사능 수치 분석 단계(S300);상기 방사능 수치 분석 단계(S300)에서, 방사성 물질 배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증기를 배수부(400)로 배출하는 배출 단계(S400); 및상기 방사능 수치 분석 단계(S300)에서, 방사성 물질 배출 기준을 불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증기를 응축기(500)로 이송하여 응축한 후, 응축수를 증기조(200)로 다시 집수하는 집수 단계(S500);를 포함하는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2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태양광 흡수체(220)는 폐수 상에 부유하며, 태양광을 흡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것인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3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상기 태양광 흡수체는 발열체 단독 또는 다공성 지지체 상에 코팅된 발열체를 포함하는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4 4
상기 제3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섬유상, 다공성 고분자막, 다공성 금속체, 고분자 발포체, 탄소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5 5
상기 제3항에 있어서,상기 발열체는 탄소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금속 질화물; 금속 산화물; 금속;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6 6
상기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고분자은 폴리피롤(poly pyrrole), 폴리 3-헥실티오펜(poly 3-hexylthiophene) 및 폴리티오펜(poly thio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7 7
상기 제3항에 있어서,상기 태양광 흡수체는 소수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8 8
상기 제7항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스티렌(poly styrene), 폴리에틸렌(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다이플루오르에틸렌(polyvinyldifluoroethyl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에테르케톤(polyetherketon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에테르나이트릴(polyethylene ether nitr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9 9
상기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태양광 흡수체는 상기 방사성 폐수의 방사성핵종을 흡착시키는 흡착체를 더 포함하는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10 10
상기 제9항에 있어서,유기-금속 골격체는 아민, 카르복실기와 같은 관능기의 도입을 통해 방사성핵종을 흡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MOF를 말하며, 이러한 MOF, 제올라이트, 천연점토광물, 페로시안화 전이금속, 실리코타이타내이트계 화합물과 지지체로 사용되는 고분자를 복합소재로 제조하여 물질전달에 유리하면서도, 방사성물질을 흡착하여 폐액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지지체를 제조할 수 있다
11 11
상기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체는 태양광 흡수체의 표면에 술폰산기, 인산기, 카르복시메틸기, 크라운에테르, 아민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알데하이드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용기가 개질되어 형성된 것인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12 12
상기 제9항에 있어서,상기 방사성핵종은 Cs, Sr, Pu, Am
13 13
상기 제9항에 있어서,상기 방사성핵종은 T2O, HTO, DTO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저농도 삼중수소화합물인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14 14
상기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방사성 폐수는 수집조(100)로부터 유입된 것인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
15 15
상기 제1항 내지 제14항에 따른 방사성 폐수 처리방법을 이용한 방사성 폐수 처리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삼중수소 분리용 고분자기반 매질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기술개발사업(R&D) 원자력시설 해체부지 환경복원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