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성형 복합체

  • 기술번호 : KST2022000308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성형 복합체를 개시한다. 상기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a) 성형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성형체를 실리카졸 용액에 담지하여 실리카졸 용액으로 표면처리되고 함침된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실리카졸 용액으로 표면처리되고 함침된 상기 성형체를 열처리하여 성형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성형 복합체는 강도 및 표면 해상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성형 복합체는 우수한 표면 충전성 및 표면 평활성에 의해 내식성 및 내소착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Int. CL C04B 41/50 (2006.01.01) C04B 41/00 (2006.01.01) C04B 40/02 (2006.01.01) C04B 28/02 (2006.01.01) C04B 20/10 (2006.01.01) C04B 20/00 (2006.01.01) B28B 1/00 (2006.01.01) B33Y 70/00 (2020.01.01) C04B 103/12 (2006.01.01) C04B 103/14 (2006.01.01)
CPC C04B 41/5035(2013.01) C04B 41/0072(2013.01) C04B 40/0277(2013.01) C04B 40/029(2013.01) C04B 28/02(2013.01) C04B 20/1077(2013.01) C04B 20/1033(2013.01) C04B 20/0016(2013.01) C04B 20/1066(2013.01) B28B 1/001(2013.01) B33Y 70/00(2013.01) C04B 2103/12(2013.01) C04B 2103/1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77863 (2020.06.25)
출원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00443 (2022.01.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6.25)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홍대 울산광역시 중구
2 김태욱 울산광역시 북구
3 전승엽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4 정보라 울산광역시 남구
5 김억수 울산광역시 울주군
6 김진우 울산광역시 중구
7 이금연 경상남도 김해시 분성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수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길 **(서초동) *층(국제특허다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6.25 수리 (Accepted) 1-1-2020-0656690-19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9.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성형체를 제공하는 단계;(b) 상기 성형체를 실리카졸 용액에 담지하여 실리카졸 용액으로 표면처리되고 함침된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c) 실리카졸 용액으로 표면처리되고 함침된 상기 성형체를 열처리하여 성형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이단계 (b) 전에,(b') 상기 성형체를 양생(curing)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양생이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는 수용액, 증류수 및 항온항습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경화 촉진제가 탄산리튬(Li2CO3), 탄산나트륨(Na2CO3),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알루미늄(Al2O3SO4), 수산화리튬(LiOH), 황화리튬(Li2S), 리튬메타보레이트(LiBO2), 황산리튬(Li2SO4), 질산리튬(LiNO3), 염화리튬(LiCl) 및 브로민화리튬(LiB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양생이 5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단계 (a)가 (a-1) 주물사를 적층하여 주물사층을 형성하는 단계;(a-2) 상기 주물사층 상에 액티베이터를 분사하는 단계; 및(a-3) 단계 (a-1)과 단계 (a-2)를 반복 수행하여 성형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주물사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골재 및 상기 골재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CaOㆍAl2O3 (CA)를 포함하는 시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주물사가 급결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급결제가 상기 골재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12CaOㆍ7Al2O3 (C12A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주물사는 상기 시멘트(C)에 대한 급결제(F)의 중량비(C:F)가 95:5 내지 6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10 10
제7항에 있어서,상기 골재가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골재는 상기 바인더가 상기 무기입자 사이에 분포하고, 과립(granule) 형상의 복합 과립형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바인더가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덱스트린,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MC),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과립형 골재는 상기 무기입자(I)에 대한 바인더(B)의 중량비(I:B)가 99
13 13
제6항에 있어서,상기 액티베이터가 물, 2-피롤리돈(2-pyrrolidone), 계면활성제, 소포제, 친수성 고분자 및 무기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14 1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성형 복합체가 주물을 제조하기 위한 주형에 사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의 제조방법
15 15
성형체 및 상기 성형체의 표면 및 내부에 위치하는 실리카를 포함하고,상기 성형체는무기입자를 포함하는 골재; 및 상기 골재 사이에 위치하고, 이웃하는 상기 골재를 결합하고, CaOㆍAl2O3(CA)를 포함하는 시멘트;를 포함하고,상기 실리카는 상기 골재 사이에 위치하고, 이웃하는 상기 골재를 결합하는 것인 성형 복합체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성형체가 급결제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급결제가 상기 골재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12CaOㆍ7Al2O3 (C12A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성형 복합체는 상기 시멘트(C)에 대한 급결제(F)의 중량비(C:F)가 95:5 내지 6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
18 18
제15항에 있어서,상기 골재가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골재는 상기 바인더가 상기 무기입자 사이에 분포하고, 과립(granule) 형상의 복합 과립형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바인더가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복합체
20 20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과립형 골재는 상기 무기입자(I)에 대한 바인더(B)의 중량비(I:B)가 99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시스템전문기술개발사업(R&D) 선박해양용 대형부품의 2m급 주형제작을 위한 3D프린팅 기술개발
2 기획재정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산기술산업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 세라믹 3D 적층성형기반 RM 체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