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자가 기립 경사 훈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0450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는, 환자의 훈련 기립 경사도 및 훈련 시간을 포함하는 일별 훈련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환자에게 밀착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환자의 기립 경사도 및 환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일별 훈련 설정값과 상기 제1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훈련 시작시 환자가 설정된 훈련 기립 경사도에 맞게 기립하였는지 여부와 훈련 시간 동안 환자가 기립 경사도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메시지를 시각, 촉각, 청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t. CL A61B 5/00 (2021.01.01) A61B 5/11 (2006.01.01) G16H 20/30 (2018.01.01) A63B 23/00 (2006.01.01) A63B 23/0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54302 (2021.04.27)
출원인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37904 (2021.11.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56187   |   2020.05.11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4.27)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준영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2 김태준 서울특별시 송파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심경식 대한민국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 *** 동아빌딩 *층(에스와이피특허법률사무소)
2 홍성욱 대한민국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 *** 동아빌딩 *층(에스와이피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4.27 수리 (Accepted) 1-1-2021-0491372-69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5.07 수리 (Accepted) 1-1-2021-0529593-7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환자의 훈련 기립 경사도 및 훈련 시간을 포함하는 일별 훈련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환자에게 밀착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환자의 기립 경사도 및 환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일별 훈련 설정값과 상기 제1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훈련 시작시 환자가 설정된 훈련 기립 경사도에 맞게 기립하였는지 여부와 훈련 시간 동안 환자가 기립 경사도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메시지를 시각, 촉각, 청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훈련 시작시 측정된 기립 경사도와 설정된 훈련 기립 경사도가 일치 여부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 또는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시간 중의 환자의 실신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 또는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혈압, 맥박, 심전도, 뇌파, 뇌혈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환자의 실신 위험을 예측하고, 예측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 및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혈압이 미리 설정한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맥박이 미리 설정한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심전도가 동성리듬(sinus rhythm)이 아닌 경우, 뇌파가 알파파에서 세타파 또는 델타파로 변경되는 경우, 뇌혈류의 평균속도(Mean Velocity)가 30%이상 감소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경우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환자가 실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이 미리 설정한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는, 수축기 혈압이 기립 경사 후의 수축기 혈압이 기립 경사 전의 수축기 혈압보다 20 이상 감소하는 경우, 기립 경사 후의 수축기 혈압이 90 미만이 되는 경우 또는 이완기 혈압이 기립 경사 후의 이완기 혈압이 기립 경사 전의 이완기 혈압보다 10 이상 감소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이고, 상기 맥박이 미리 설정한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는 기립 경사 후 10분 이내 혈압의 감소없이 맥박이 기립 경사 전보다 30회 이상 증가하는 경우, 기립 경사 후의 맥박이 120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및 기립 경사 후 분당 40회 이하로 감소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7 7
제2항에 있어서,환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입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일별 훈련 설정값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8 8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날짜 마다 환자의 기립 훈련에 따라 발생되는 훈련 시간 및 훈련 기립 경사도를 캘린더 형식으로 기록하여 상기 통신부 및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9 9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일별 훈련 설정값에 포함된 훈련 시간을 채우지 못한 경우, 훈련을 독려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 및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10 10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제2 센서부는 진동센서, 음향센서, 맥박측정센서, 심전도센서, 혈압센서, 호흡측정센서, 뇌파측정센서, 뇌혈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훈련 시간 동안 미리 저장된 음악 및 동기 부여 멘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장치
12 12
환자가 소지한 장치에 의한 자가 기립 경사 훈련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훈련 기립 경사도 및 훈련 시간을 포함하는 일별 훈련 설정값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환자에게 밀착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센서부에 의해 환자의 기립 경사도 및 환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및상기 일별 훈련 설정값과 상기 제1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훈련 시작시 환자가 설정된 훈련 기립 경사도에 맞게 기립하였는지 여부와 훈련 시간 동안 환자가 기립 경사도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훈련 시작시 측정된 기립 경사도와 설정된 훈련 기립 경사도가 일치 여부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통신부 또는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 시간 중의 환자의 실신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 또는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부에 의해 환자의 혈압, 맥박, 심전도, 뇌파, 뇌혈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제2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환자의 실신 위험을 예측하고, 예측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 및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혈압이 미리 설정한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맥박이 미리 설정한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심전도가 동성리듬(sinus rhythm)이 아닌 경우, 뇌파가 알파파에서 세타파 또는 델타파로 변경되는 경우, 뇌혈류의 평균속도(Mean Velocity)가 30%이상 감소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경우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환자가 실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방법
17 17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일별 훈련 설정값에 포함된 훈련 시간을 채우지 못한 경우, 훈련을 독려하는 통신부 및 출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가 기립 경사 훈련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주대학교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패턴 인식 수용체 매개 희소돌기교세포 사멸 극복을 통한 허혈성 백질 손상 치료제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주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희소돌기교세포 전구세포의 이동 촉진을 통한 허혈성 백질 손상의 새로운 치료 전략 수립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아주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뇌질환 융합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