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동체 및 사람 간의 협력에 기반하여 이동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이동체의 제어 장치

  • 기술번호 : KST2022000718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이동체 및 사람 간의 협력에 기반하여 원격 이동체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동체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이동체의 구동 개시 의사를 나타내는 제 1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이동체를 구동하고, 스스로 주행을 제어하는 이동체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경로 설정을 유도하기 위한 이동체의 주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주변 정보의 인지에 따라 유발된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행 방향에서 이동체가 취해야 할 주행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명령하며, 사용자로부터 주행 오류의 인지에 대응하는 제 3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교정함으로써 주행 경로의 재설정을 유도한다.
Int. CL B60W 50/08 (2020.01.01) B60W 40/08 (2006.01.01) B60W 40/02 (2006.01.01) B60W 60/00 (2020.01.01) B60W 30/18 (2006.01.01) B60W 50/00 (2006.01.01) B60W 50/14 (2020.01.01)
CPC B60W 50/08(2013.01) B60W 40/08(2013.01) B60W 40/02(2013.01) B60W 60/001(2013.01) B60W 30/181(2013.01) B60W 2040/0872(2013.01) B60W 2520/06(2013.01) B60W 2050/0064(2013.01) B60W 2050/146(2013.01) B60W 2520/10(2013.01) B60W 2040/089(2013.01) B60W 2420/42(2013.01) B60W 2520/04(2013.01) B60Y 2300/1809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82945 (2020.07.06)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05673 (2022.01.1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7.06)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래현 서울특별시 성북구
2 김다혜 서울특별시 성북구
3 오승준 서울특별시 성북구
4 홍언조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7.06 수리 (Accepted) 1-1-2020-0699691-06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11.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2.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034059-56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10.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814268-08
5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1.12.17 수리 (Accepted) 1-1-2021-1464155-69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12.28 1-1-2021-1514220-46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12.28 수리 (Accepted) 1-1-2021-1514205-6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이동체 제어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이동체의 구동 개시 의사를 나타내는 제 1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를 구동하는 단계;(b) 상기 이동체 제어 장치가 스스로 주행을 제어하는 이동체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경로 설정을 유도하기 위한 상기 이동체의 주변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변 정보의 인지에 따라 유발된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c) 상기 이동체 제어 장치가 설정된 상기 주행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가 취해야 할 주행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및(d) 상기 이동체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주행 오류의 인지에 대응하는 제 3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교정함으로써 주행 경로의 재설정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생체 신호, 상기 제 2 생체 신호 및 상기 제 3 생체 신호는 하나의 뇌파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이종의 뇌파 신호인, 이동체의 제어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a1) 이동체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생체 신호 중에서 이동체의 구동 개시 의사를 나타내는 제 1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a2) 상기 제 1 생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체를 구동하고 사용자의 주행 방향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b1) 주변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제어를 위해 상기 이동체와 상기 사용자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주변 지도, 주변 영상 및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 정보를 시각 자극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b2)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변 정보의 인지에 따라 유발된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주변 정보 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후보 경로 중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및(b3) 식별된 상기 후보 경로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체의 세부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5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b1) 단계는,상기 이동체가 수집한 주변 상황이 미리 설정된 이동체로부터 사용자로의 제어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가 주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후보 경로를 상기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주변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6 6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b2) 단계는,상기 주변 정보에 관한 시각 자극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한 후보 경로를 식별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7 7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b3) 단계는,상기 제 2 생체 신호로부터 동작 상상에 따른 자발적 생체 신호를 추출하되, 식별된 상기 후보 경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한 상기 이동체의 세부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8 8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b4) 상기 이동체의 주변 지도, 주변 영상 및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체의 현재 주행 경로에 인접한 갈림길을 식별하는 단계;(b5) 식별된 상기 갈림길에 접근하는 제 1 선행 시점에 주행 경로에 대한 유형 정보를 시각 자극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b6) 식별된 상기 갈림길에 접근하는 제 2 선행 시점에 시각 자극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9 9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선행 시점 및 상기 제 2 선행 시점은, 상기 갈림길까지의 잔여 거리 및 상기 이동체의 속도를 고려하여 조절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10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는,(d1) 상기 사용자로부터 주행 오류의 인지에 대응하는 제 3 생체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설정된 상기 주행 방향이 사용자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d2) 검사 결과 설정된 상기 주행 방향에 오류가 있다면 주행 방향의 교정을 위해 상기 이동체로 하여금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및(d3) 상기 이동체가 회전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주행 방향에서 구동 개시 의사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이동체로 하여금 해당 방향으로 재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라 실제의 주행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11 11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생체 신호는, 뇌파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의도된 이중 깜빡임(EEG double blink) 신호,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신호,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동작 또는 제스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이고,상기 제 2 생체 신호는, 뇌파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SSVEP(steady-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신호 또는 운동 상상(motor imagery, MI) 신호로서, 상기 주변 정보 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후보 경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각적인 인지 또는 동작 상상에 따라 유발된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신호를 포함하며,상기 제 3 생체 신호는, 뇌파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ErrP(error-related potential) 신호인, 이동체의 제어 방법
12 1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수 유형의 생체 신호 중에서 상기 제 1 생체 신호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대기하고,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복수 유형의 생체 신호 중에서 상기 제 2 생체 신호가 획득될 때까지 상기 (c)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대기하며,상기 (c) 단계의 수행이 완료된 후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b) 단계로 진행하여 주행 방향의 설정 및 동작 수행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13 13
제 1 항에 있어서,(e) 상기 이동체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상황의 인지에 대응하는 제 4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로 하여금 정지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의 제어 방법
14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15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복수 유형의 생체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상기 생체 신호의 유형에 따라 이동체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상기 이동체가 주행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후보 경로를 상기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주변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시각 자극 발생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처리부는,사용자로부터 이동체의 구동 개시 의사를 나타내는 제 1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를 구동하고, 스스로 주행을 제어하는 이동체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이동체가 수집한 주변 상황이 미리 설정된 이동체로부터 사용자로의 제어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경로 설정을 유도하기 위한 상기 이동체의 주변 정보를 상기 시각 자극 발생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변 정보의 인지에 따라 유발된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주행 방향에서 상기 이동체가 취해야 할 주행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명령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주행 오류의 인지에 대응하는 제 3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교정함으로써 주행 경로의 재설정을 유도하는, 이동체의 제어 장치
16 16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부는,주변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제어를 위해 상기 이동체와 상기 사용자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주변 지도, 주변 영상 및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 정보를 시각 자극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변 정보의 인지에 따라 유발된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주변 정보 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후보 경로 중 하나를 식별하며, 식별된 상기 후보 경로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체의 세부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이동체의 제어 장치
17 17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부는,상기 주변 정보에 관한 시각 자극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한 후보 경로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생체 신호로부터 동작 상상에 따른 자발적 생체 신호를 추출하되, 식별된 상기 후보 경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한 상기 이동체의 세부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이동체의 제어 장치
18 18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부는,상기 이동체의 주변 지도, 주변 영상 및 주행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체의 현재 주행 경로에 인접한 갈림길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갈림길에 접근하는 제 1 선행 시점에 주행 경로에 대한 유형 정보를 시각 자극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식별된 상기 갈림길에 접근하는 제 2 선행 시점에 시각 자극을 인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2 생체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결정하되,상기 제 1 선행 시점 및 상기 제 2 선행 시점은, 상기 갈림길까지의 잔여 거리 및 상기 이동체의 속도를 고려하여 조절되는, 이동체의 제어 장치
19 19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부는,상기 사용자로부터 주행 오류의 인지에 대응하는 제 3 생체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설정된 상기 주행 방향이 사용자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 설정된 상기 주행 방향에 오류가 있다면 주행 방향의 교정을 위해 상기 이동체로 하여금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명령하며, 상기 이동체가 회전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주행 방향에서 구동 개시 의사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이동체로 하여금 해당 방향으로 재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라 실제의 주행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이동체의 제어 장치
20 20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생체 신호는, 뇌파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의도된 이중 깜빡임(EEG double blink) 신호,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신호,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동작 또는 제스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이고,상기 제 2 생체 신호는, 뇌파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SSVEP(steady-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신호 또는 운동 상상(motor imagery, MI) 신호로서, 상기 주변 정보 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후보 경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각적인 인지 또는 동작 상상에 따라 유발된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신호를 포함하며,상기 제 3 생체 신호는, 뇌파 측정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ErrP(error-related potential) 신호인, 이동체의 제어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통신방송기술개발 및 표준화사업 (BCI-총괄/1세부) 생각만으로 실생활 기기 및 AR/VR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비침습 BCI 통합 뇌인지컴퓨팅 SW 플랫폼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