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2074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PARIS 과발현을 이용한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PARIS를 Tet-OFF transgenic 스위치 시스템으로 발현 조절할 수 있는 벡터가 도입된 리스폰더 동물과 특정 신경세포 특이적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동물을 교배하여 얻은 동물 모델은 특정 신경세포에서 PARIS를 과발현하여 도파민 세포 사멸, 운동장에, 뇌조직 신경 염증, 응집체 형성 및 미토콘드리아 이상이 유도됨으로써, 실제 환자와 유사한 정도로 운동 장애 (서동, 운동 조율 이상) 및 비운동 이상 (불안, 후각이상)이 매우 짧은 시간안에 유도되므로, 퇴행성 뇌질환의 병변들, 특히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과 응집체 병변을 충실히 대변할 수 있는 동물 모델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Int. CL C12N 15/85 (2006.01.01) C07K 14/47 (2006.01.01) A01K 67/027 (2006.01.01)
CPC C12N 15/85(2013.01) C07K 14/4702(2013.01) A01K 67/0275(2013.01) C12N 2830/003(2013.01) A01K 2217/203(2013.01) A01K 2267/0318(2013.01) A01K 2217/0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02226 (2020.08.14)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21553 (2022.02.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8.14)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연종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신주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3 김효정 대구광역시 북구
4 조아름 경상남도 진주시 강변길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2 공병욱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봉천동), ***호(제니스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8.14 수리 (Accepted) 1-1-2020-0856616-86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1.1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1.01.14 수리 (Accepted) 1-1-2021-0049398-44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3.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144343-10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8.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636992-15
6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1.10.07 수리 (Accepted) 1-1-2021-1153809-15
7 [출원서 등 보완]보정서
2021.11.10 수리 (Accepted) 1-1-2021-1298773-60
8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11.10 수리 (Accepted) 1-1-2021-1298775-51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11.1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1298772-14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11.10 수리 (Accepted) 1-1-2021-1298771-79
11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21.11.10 수리 (Accepted) 1-1-2021-1298774-16
1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2.02.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138083-1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PARIS(Parkin Interacting Substrate) 유전자 및 tTa(tetracycline regulatable transcription activator)-민감성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벡터
2 2
제 1항에 있어서, PARIS 유전자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벡터
3 3
제 1항에 있어서, tTA-민감성 프로모터는 PARIS 유전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Tet 프로모터(Tetracycline responsive promoter, TetP)인,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벡터
4 4
제 1항에 있어서, tTA-민감성 프로모터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벡터
5 5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벡터
6 6
제 1항에 있어서, 퇴행성 신경계 뇌질환은 치매(dementia),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루이소체 치매 (Lewy body dementia), 헌팅턴 질환 (Huntington's disease), 다계통성 신경 위축증 (multiple system atrophy), 루게릭 병 (amyolateral sclerosis), 뇌졸증(stroke), 뇌경색(cerebral infarct), 머리외상(head trauma), 뇌동맥 경화증(cerebral arteriosclerosis), 파킨슨 치매 및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벡터
7 7
제 1항의 벡터가 주입된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작용 리스폰더(responder) 동물
8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랫트, 마우스, 모르모트,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소, 양, 돼지 및 염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인간 동물인 리스폰더 동물
9 9
tTA 유전자 및 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신경세포 특이적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드라이버(driver) 동물
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랫트, 마우스, 모르모트,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소, 양, 돼지 및 염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인간 동물인,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드라이버 동물
11 11
제 9항에 있어서, tTA 유전자 및 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tTA-민감성 프로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드라이버 동물
12 12
제 9항에 있어서, tTA 유전자 및 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파민 신경세포 특이적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드라이버 동물
13 13
제 12항에 있어서, 도파민 신경세포는 TuJ1, MAP2, HuC/D, VMAT2, 및 DAT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하는 신경세포인,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드라이버 동물
14 14
제 12항에 있어서, 도파민 신경세포 특이적 프로모터는 도파민 수용체 (dopamine transporter, DAT)-특이적 프로모터인,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드라이버 동물
15 15
제 9항에 있어서, 신경세포 특이적 프로모터는 CamKⅡα(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type Ⅱ alpha chain)인, 신경퇴행성 질환 모델 제조용 드라이버 동물
16 16
제 7항의 리스폰더 동물과 제 9항의 드라이버 동물을 교배하여 얻은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
17 17
제 16항에 있어서, PARIS의 발현을 Tet-OFF 시스템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
18 18
제 7항의 리스폰더 동물과 제 12항의 드라이버 동물을 교배하여 얻은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
19 19
제 18항에 있어서, 도파민 신경세포 특이적으로 PARIS를 발현하는,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
20 20
제 18항에 있어서, 도파민 세포 사멸, 운동 장애, 후각이상, 미토콘드리아 구조 이상 또는 루이소체 병변이 발생하는,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
21 21
제 7항의 리스폰더 동물과 제 15항의 드라이버 동물을 교배하여 얻은 치매 질환 동물 모델
22 22
제 21항에 있어서, 치매는 루이소체 치매인, 치매 질환 동물 모델
23 23
제 21항에 있어서, 신경세포 특이적으로 PARIS를 발현하는, 치매 질환 동물 모델
24 24
제 1항의 벡터를 신경세포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세포 모델 제조 방법
25 25
제 24항에 있어서, 신경세포가 인간, 마우스, 래트, 토끼, 초파리, 돼지 또는 원숭이의 신경세포인, 신경퇴행성 질환 세포 모델 제조 방법
26 26
제 24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신경퇴행성 질환 세포 모델
27 27
1) 제 1항의 벡터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주입하여 리스폰더 동물을 제조하고;2) 리스폰더 동물을 신경세포 특이적 프로모터 및 tTA 유전자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동물과 교배시키며; 및3) PARIS 유전자, TetP-민감성 프로모터, tTA 유전자 및 신경세포 특이적 프로모터를 모두 가지는 동물을 선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 제조 방법
28 28
제 16항의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 또는 제 26항의 신경퇴행성 질환 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29 29
제 16항의 신경퇴행성 질환 동물 모델 또는 제 26항의 신경퇴행성 질환 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후보 물질의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 효과를 검증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저핵 장애 관련 뇌병변 표현 신규 동물 모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