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2153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품질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한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가공물의 하부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그부; 상기 지그부에 마련되며,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으며,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Int. CL B23Q 17/00 (2006.01.01) B23Q 3/06 (2006.01.01) B23Q 17/22 (2006.01.01) B29K 105/08 (2014.01.01)
CPC B23Q 17/005(2013.01) B23Q 3/062(2013.01) B23Q 17/2291(2013.01) B29K 2105/087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02947 (2020.08.18)
출원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22488 (2022.02.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8.18)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석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김태곤 경기 성남시 분당구
3 김효영 경기도 안성시 중앙로 한빛마을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상수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길 ** *층 (브릿지웰빌딩)(에이치앤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8.18 수리 (Accepted) 1-1-2020-0861568-0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가공물의 하부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그부;상기 지그부에 마련되며,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센서부; 및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으며,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는,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가공부의 가공 경로 및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가공부의 가공 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가공부 및 상기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그부는,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몸체유닛;상기 제1 몸체유닛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부를 향해 연장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몸체유닛;상기 제2 몸체유닛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공물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고정유닛; 및상기 제2 몸체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5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유닛은,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가공물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
6 6
제 1 항에 따른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에 있어서,a) 상기 가공부가 미리 설정된 가공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는 단계;b) 상기 가공물이 가공될 때,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지그부로부터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c)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상기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및d) 상기 제어부가 제공받은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시 가공부 및 지그부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그부의 상기 가공물을 지지하는 부분의 가속도 및 변위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8 8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는,d1) 제공받은 상기 신호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단계;d2) 상기 가공부의 가공 경로 및 가공 시작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이상신호 발생시 가공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 및d3)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부 및 상기 지그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9 9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d3) 단계는,복수의 상기 지그부 중 어느 하나의 지그부에 마련된 센서부에서만 이상 신호가 측정된 경우, 이상신호가 측정된 센서부가 마련된 상기 지그부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10 10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변위를 통한 상기 지그부의 진동 방향 및 크기를 도출하여 오차 발생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지그부를 교체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11 11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d3) 단계는,복수의 상기 지그부에 마련된 상기 센서부 전체에서 이상신호가 측정된 경우, 상기 가공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가공물 고정장치를 이용한 가공 제어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기획재정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산기술산업선도핵심기술개발 [일반사업]현장설비 부착형 극저온 통합가공시스템 개발(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