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필름형 누액 센서

  • 기술번호 : KST202200286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 및 제2 전극선,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선들을 덮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선들 각각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센싱 홀들을 갖는 보호 필름층, 및 상기 보호 필름층 상의 누액 수송로층을 포함하되, 상기 누액 수송로층은 소수성 영역 및 상기 소수성 영역으로 둘러싸인 친수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싱 홀들에 인접할수록 상기 소수성 영역에 대한 상기 친수성 영역의 면적 비율이 증가하는 필름형 누액 센서를 제공한다.
Int. CL G01M 3/16 (2006.01.01) G01N 27/12 (2006.01.01) G01N 27/2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04438 (2021.01.1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33959 (2022.03.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14912   |   2020.09.08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우석 대전광역시 서구
2 홍성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임규리 대전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고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 *층(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1.13 수리 (Accepted) 1-1-2021-0043030-2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상기 기판 상의 제1 및 제2 전극선;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선들을 덮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선들 각각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센싱 홀들을 갖는 보호 필름층; 및상기 보호 필름층 상의 누액 수송로층을 포함하되,상기 누액 수송로층은 소수성 영역 및 상기 소수성 영역으로 둘러싸인 친수성 영역을 포함하고,상기 제1 및 제2 센싱 홀들에 인접할수록 상기 소수성 영역에 대한 상기 친수성 영역의 면적 비율이 증가하는 필름형 누액 센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재)경남테크노파크 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 나노금형기반 맞춤형 융합제품 상용화지원센터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