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Noxa 단백질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 생산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포외 소포의 생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3033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세포 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oxa 단백질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peptide)와 이의 유도체 (derivative)를 이용하여 다량의 세포외 소포 (Extra-cellular vesicle, EV)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세포외 소포 생산 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세포외 소포의 생산 방법을 이용하면, 세포외 소포를 효율적이고 대량으로 균일하게 생산할 수 있고 또한, 재조합 단백질 또는 플라스미드 DNA 뿐만 아니라 세포막을 잘 통과하지 못하는 약물을 담지한 세포외 소포를 생산할 수 있다.
Int. CL C12N 5/00 (2006.01.01) C12N 5/09 (2010.01.01) C07K 14/47 (2006.01.01) A61K 47/46 (2017.01.01) A61K 31/704 (2006.01.01)
CPC C12N 5/0068(2013.01) C12N 5/0693(2013.01) C07K 14/4747(2013.01) A61K 47/46(2013.01) A61K 31/704(2013.01) C12N 2509/10(2013.01) C12N 2501/99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15145 (2020.09.09)
출원인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33138 (2022.03.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9.09)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태형 광주광역시 서구
2 박정희 광주광역시 서구
3 한지혜 광주광역시 남구
4 명승현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대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봉천동), ***호(제니스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9.09 수리 (Accepted) 1-1-2020-0954046-3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1.1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2.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020522-1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 생산 촉진용 조성물
2 2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펩타이드; 및당을 포함하는 용액;을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 생산용 배지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글루코스 (glucose), 수크로스 (sucrose) 및 소르비톨 (sorb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세포외 소포 생산용 배지
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MOPS [3-(N-morpholino)propanesulfonic acid]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세포외 소포 생산용 배지
5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염화나트륨 (NaCl), 염화칼륨 (KCl), 글루콘산나트륨 (Na-gluconate), 글루콘산칼륨 (K-gluconate), 인산나트륨 (NaPO4) 및 인산칼륨 (KPO4)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세포외 소포 생산용 배지
6 6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 생산 방법: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펩타이드, 및 당을 포함하는 용액을 포함하는 배지를 준비하는 배지 준비 단계; 및배지와 세포주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글루코스 (glucose), 수크로스 (sucrose) 및 소르비톨 (sorb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세포외 소포 생산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MOPS [3-(N-morpholino)propanesulfonic acid]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세포외 소포 생산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염화나트륨 (NaCl), 염화칼륨 (KCl), 글루콘산나트륨 (Na-gluconate), 글루콘산칼륨 (K-gluconate), 수크로스 (Sucrose), 인산나트륨 (NaPO4) 및 인산칼륨 (KPO4)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세포외 소포 생산 방법
10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CT26 (마우스 결장 암종), HeLa (사람 자궁경부 암), HEK293 (사람 신장 상피), 3T3-L1 (마우스 지방선구세포) 및 HMSC (사람 간엽 줄기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세포 소포의 생산 방법
11 1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외 소포 페이로드 (Payload) 로딩 방법: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펩타이드, 및 당을 포함하는 용액을 포함하는 배지를 준비하는 배지 준비 단계; 및배지, 페이로드 및 세포주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는 단백질, DNA, RNA, 플라스미드 DNA 및 항암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세포외 소포 페이로드 로딩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 물질은 항암 단백질, 종양 억제 유전자 및 항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세포외 소포 페이로드 로딩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 단백질은 아스파라기네이즈, 보툴리눔 독소 (Botulinum toxin), 테타누스 독소 (Tetanus toxin), 시가 독소 (Shiga toxin), 디프테리아 독소 (Diphtheria toxin, DT), 리신 (ricin), 슈도모나스 외독소 (Pseudomonas exotoxin, PE), 사이토라이신 A (cytolysin A, ClyA), γVEGF (v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안지오포이에틴1 (angiopoietin 1, Ang1), 안지오포이에틴2 (Ang2), 형질전환 성장인자-β (transforming growth factor-βTGF-β인테그린 (integrin), 혈관 내피 캐드헤드린 (VE-cadherin),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plasminogen activator, PA), 에프린 (ephrin),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PDGF), 단핵구 주화성 단백질-1 (MCP-1,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GF), 태반성장인자 (placenta growth factor, PIGF), VHL (von HippelLindau), APC (Adenomatous polyposis coli), CD95 (cluster of differentiation 95), ST5 (Suppression of tumorigenicity 5), YPEL3 (Yippee like 3), ST7 (Suppression of tumorigenicity 7) 및 ST14 (Suppression of tumorigenicity 1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세포외 소포 페이로드 로딩 방법
15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억제 유전자는 VHL (von HippelLindau), APC (Adenomatous polyposis coli), CD95 (cluster of differentiation 95), ST5 (Suppression of tumorigenicity 5), YPEL3 (Yippee like 3), ST7 (Suppression of tumorigenicity 7) 및 ST14 (Suppression of tumorigenicity 1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세포외 소포 페이로드 로딩 방법
16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 화합물은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5-플루오로우라실 (5-fluorouracil), 젬시타빈 (gemcitabine), 아라비노실시토신 (arabinosylcytosine), 히드록시우레아 (hydroxy urea), 머캅토퓨린(mercaptopurine), 티오구아닌 (thioguanine), 니트로겐 머스타드 (nitrogen mustad), 사이클로스포라미드 (cyclosporamide), 안트라사이클린 (anthracycline), 다우노루비신 (daunorubicin), 독소루비신 (doxorubicin), 에피루비신 (epirubicin), 이다루비신 (idarubicin), 픽산트론 (pixantrone), 사바루비신 (sabarubicin), 발루비신 (valrubicin), 악티노마이신 D (actinomycin D), 빈크리스틴 (vincristine), 탁솔 (taxol), 콤브레타스타틴 A4 (combretastatin A4), 푸마길린 (Fumagillin), 허비마이신 (herbimycin A), 2-메톡시에스트라디올 (2-methoxyestradiol), OGT 2115, TNP 470, 트라닐라스트 (tranilast), XRP44X, 탈리도마이드 (thalidomide), 엔도스타틴 (endostatin), 살모신 (salmosin), 안지오스타틴 (angiostatin), 플라스미노겐 (plasminogen), 아포리포단백질 (apolipoprotein)의 크링글 도메인 (kringle domain), 옥살로플라틴, 카르보틀라틴(carboplatin), 시스플라틴 (cisplatin), 보르테조밉 (Bortezomib) 및 방사성 핵종(radionuclide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세포외 소포 페이로드 로딩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