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그래핀의 기하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유체역학적 전자 수송을 제어하는 응용 소자

  • 기술번호 : KST202200475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그래핀의 기하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유체역학적 전자 수송을 제어하는 응용 소자에 관한 것으로, 그래핀의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하여 유체역학적으로 수송되는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핀의 기하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유체역학적 전자 수송을 제어하는 응용 소자는 금속 전극들, 상기 금속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고,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의 전후로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고, 상기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사이에서의 전자 수송 흐름을 유체역학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수송 제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1L 29/16 (2006.01.01) C01B 32/182 (2017.01.01) H01L 51/00 (2006.01.01) H01L 51/42 (2006.01.01) H01L 51/05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25595 (2021.09.23)
출원인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54187 (2022.05.0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38016   |   2020.10.2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9.23)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영덕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이제중 경기도 부천시 범안로**번길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연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호(문정동, 문정대명벨리온)(시안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9.23 수리 (Accepted) 1-1-2021-1089116-4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그래핀(graphene)의 기하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유체역학적 전자 수송을 제어하는 응용 소자에 있어서,금속 전극들;상기 금속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고,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의 전후로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고, 상기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사이에서의 전자 수송 흐름을 유체역학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수송 제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상기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금속 전극들 중 제1 금속 전극으로부터 제2 금속 전극으로의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의 제1 전자 수송 흐름과 상기 제2 금속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1 금속 전극으로의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의 제2 전자 수송 흐름을 비대칭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상기 제1 전자 수송 흐름에 따른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제2 전자 수송 흐름에 따른 전류의 크기보다 크도록 상기 사이에서의 전자 수송 흐름을 유체역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는 상기 제1 전자 수송 흐름에서 전자들 간의 간섭 발생을 억제하고, 상기 제2 전자 수송 흐름에서 전자들 간의 간섭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상기 그래핀(graphene)의 상면을 덮는 차폐 물질 및 상기 그래핀(graphene)의 하면을 덮는 차폐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폐 물질을 육방정계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 hBN), MoOX(Molybdenum oxide), HfO2 및 Al2O3 중 어느 하나로 포함하고, 상기 그래핀(graphene)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폐 물질의 반데르발스 이중접합(van der Waals heterostructure)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7 7
제5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전극들은 상기 그래핀(graphene)과 상기 상면을 덮는 차폐 물질과 상기 하면을 덮는 차폐 물질이 사선 모양으로 식각(etching) 된 후 상기 그래핀(graphene)의 전면과 후면에 맞닿도록 상기 사선 모양에 대응되는 사선 모양으로 증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8 8
제5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전극들은 상기 상면을 덮는 차폐 물질에 형성된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상기 그래핀(graphene)의 상면 상에 증착 형성되거나 상기 그래핀(graphene), 상기 상면을 덮는 차폐물질 및 상기 하면을 덮는 차폐 물질에 형성된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기판 상에 증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전극들은 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이 상기 그래핀(graphene)의 하면을 덮는 차폐 물질만 포함하거나 차폐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그래핀(graphene)의 상면 상에 증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소자
10 10
제1항에 있어서,기판을 더 포함하고,상기 기판은 반도체 기판과 절연체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상기 기판 상에서 전기적 게이팅(gating)에 기반하여 응용 소자 내 전하 밀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상기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에 기반하여 상기 사이에서의 광학적으로 여기된 전자와 양공의 비대칭적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상기 사이에서 상기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반복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비대칭적인 기하학적 구조는 그래핀 디랙 유체 테슬라 벨브(graphene dirac fluid tesla valve)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전자빔 리소그래피 및 플라즈마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16 1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상기 그래핀(graphene)의 전하 중성점(Charge Neutrality Point)에서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의 저항 값과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의 저항 값의 비율에 해당하는 이질성(diodicity)의 값이 상기 전하 중성점(Charge Neutrality Point)에서 상기 전하 중성점(Charge Neutrality Point)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비교하여 높게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17 1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다수 전하 캐리어(majority charge carrier)가 정공(hole)인 경우,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의 전류 크기와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의 전류크기가 23%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18 1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 제어층은 다수 전하 캐리어(majority charge carrier)가 전자(electron)인 경우,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의 전류크기와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의 전류 크기가 22%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용 소자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_기본연구 그래핀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유체역학적 전자 수송 제어 연구 및 응용소자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