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밀집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노드의 전송 모드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기술번호 : KST2022004823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복수의 AN들과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한 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CP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이 연결 가능한 AN(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연결 가능한 AN(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a); 협력 전송 지원 제약 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AN(들)과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연결들을 조정하는 단계(b); 상기 활성화 AN(들)에 의한 제1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활성화 AN(들) 중 적어도 하나의 AN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킨 상태의 제2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c); 및 상기 제2 에너지 효율이 상기 제1 에너지 효율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에너지 효율이 상기 제1 에너지 효율보다 개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를 제외하거나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단계(c)부터 다시 실행하는 단계(d)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4W 52/02 (2009.01.01) H04W 24/02 (2009.01.01) H04W 88/08 (2009.01.01) H04B 17/309 (2014.01.01) H04B 7/0413 (2017.01.01)
CPC H04W 52/0206(2013.01) H04W 24/02(2013.01) H04W 88/085(2013.01) H04B 17/309(2013.01) H04B 7/0413(2013.01) Y02D 30/7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40838 (2020.10.28)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56352 (2022.05.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1.05)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수정 세종특별자치시 남세
2 홍승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0.28 수리 (Accepted) 1-1-2020-1144483-78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1.05 수리 (Accepted) 1-1-2022-0012811-9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복수의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들과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한 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distributed massive MIMO) 시스템에서 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의 동작 방법으로,상기 복수의 단말들 또는 상기 복수의 AN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이 연결 가능한 AN(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연결 가능한 AN(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active) AN(들)의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a);협력 전송 지원 제약 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AN(들)과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연결들을 조정하는 단계(b); 상기 활성화 AN(들)에 의한 제1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활성화 AN(들) 중 적어도 하나의 AN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킨 상태의 제2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c); 및상기 제2 에너지 효율이 상기 제1 에너지 효율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에너지 효율이 상기 제1 에너지 효율보다 개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를 제외하거나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단계(c)부터 다시 실행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과 상기 복수의 AN들 각각 간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이 연결 가능한 AN(들)이 결정되는,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서, 상기 활성화 AN(들)은 상기 연결 가능한 AN(들) 중에서 연결 가능한 단말들의 숫자가 많은 순으로 결정되는,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4 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연결 가능한 AN(들) 중에서 연결 가능한 단말들의 숫자가 동일한 AN들이 존재하는 경우, 연결된 단말들의 채널 상태들이 더 양호한 AN이 활성화 AN으로 선택되는,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단계(b)에서, 상기 협력 전송 지원 제약 사항은 상기 활성화 AN(들)의 RF(radio frequency) 체인들의 숫자()인,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6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보다 많은 수의 연결들이 상기 활성화 AN(들)과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간에 존재하는 경우, 제1 활성화 AN에 연결된 단말들에 대한 상기 제1 활성화 AN의 기여도가 낮은 순으로 연결을 해제하는,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7 7
복수의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들과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한 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distributed massive MIMO)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AN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로서,프로세서; 및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상기 복수의 단말들 또는 상기 복수의 AN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이 연결 가능한 AN(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연결 가능한 AN(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active) AN(들)의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a);협력 전송 지원 제약 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AN(들)과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연결들을 조정하는 단계(b); 상기 활성화 AN(들)에 의한 제1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활성화 AN(들) 중 적어도 하나의 AN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킨 상태의 제2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c); 및상기 제2 에너지 효율이 상기 제1 에너지 효율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에너지 효율이 상기 제1 에너지 효율보다 개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를 제외하거나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단계(c)부터 다시 실행하는 단계(d)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는,중앙 제어기
8 8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과 상기 복수의 AN들 각각 간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이 연결 가능한 AN(들)이 결정되는,중앙 제어기
9 9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서, 상기 활성화 AN(들)은 상기 연결 가능한 AN(들) 중에서 연결 가능한 단말들의 숫자가 많은 순으로 결정되는,중앙 제어기
10 10
청구항 9에 있어서,상기 연결 가능한 AN(들) 중에서 연결 가능한 단말들의 숫자가 동일한 AN들이 존재하는 경우, 연결된 단말들의 채널 상태들이 더 양호한 AN이 활성화 AN으로 선택되는,중앙 제어기
11 11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단계(b)에서, 상기 협력 전송 지원 제약 사항은 상기 활성화 AN(들)의 RF(radio frequency) 체인들의 숫자()인,중앙 제어기
1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보다 많은 수의 연결들이 상기 활성화 AN(들)과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간에 존재하는 경우, 제1 활성화 AN에 연결된 단말들에 대한 상기 제1 활성화 AN의 기여도가 낮은 순으로 연결을 해제하는,중앙 제어기
13 13
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distributed massive MIMO) 시스템으로서,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상기 CP에 연결된 복수의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들; 및상기 복수의 AN들에 의해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들을 포함하고,상기 CP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이 연결 가능한 AN(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AN 들 중 활성화(active) AN(들)의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a); 협력 전송 지원 제약 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 AN(들)과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한 연결들을 조정하는 단계(b); 상기 활성화 AN(들)에 의한 제1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활성화 AN(들) 중 적어도 하나의 AN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킨 상태의 제2 에너지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c); 및 상기 제2 에너지 효율이 상기 제1 에너지 효율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에너지 효율이 상기 제1 에너지 효율보다 개선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를 제외하거나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활성화 AN(들)의 집합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단계(c)부터 다시 실행하는 단계(d)를 수행하고, 상기 AN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이 연결 가능한 AN(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CP에 제공하고, 상기 CP의 제어에 의해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 시스템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과 상기 복수의 AN들 각각 간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이 연결 가능한 AN(들)이 결정되는,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 시스템
15 15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서, 상기 활성화 AN(들)은 상기 연결 가능한 AN(들) 중에서 연결 가능한 단말들의 숫자가 많은 순으로 결정되는,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 시스템
16 16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단계(b)에서, 상기 협력 전송 지원 제약 사항은 상기 활성화 AN(들)의 RF(radio frequency) 체인들의 숫자()인,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 시스템
17 17
청구항 16에 있어서,상기 보다 많은 수의 연결들이 상기 활성화 AN(들)과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간에 존재하는 경우, 제1 활성화 AN에 연결된 단말들에 대한 상기 제1 활성화 AN의 기여도가 낮은 순으로 연결을 해제하는,분산형 대규모 다중 입출력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고밀집 네트워크(UDN) 환경에서 고용량, 저비용 달성을 위한 무선전송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