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을 발현하기 위한 컨스트럭트

  • 기술번호 : KST2022004999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을 발현하는 유전자 컨스트럭트 및 상기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컨스트럭트는 균주를 통해 체내에 주입된 후 스트렙타비딘을 발현하여, 비오틴화한 진단제로 균주의 위치나 균주가 예비 표적한 암조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오틴화한 항암제의 암 표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t. CL C12N 15/70 (2006.01.01) C07K 14/36 (2006.01.01) C07K 14/245 (2006.01.01) C12Q 1/68 (2018.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46367 (2021.10.29)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58460 (2022.05.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43486   |   2020.10.3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0.2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권성영 광주광역시 남구
2 민정준 광주광역시 동구
3 홍영진 광주광역시 남구
4 유성환 광주광역시 동구
5 임진희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파도특허법인유한회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치동, 노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0.29 수리 (Accepted) 1-1-2021-1245393-9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monomeric streptavidin; mSA)을 코딩하는 유전자; 말토오즈 결합 단백질(maltose-binding protein; MBP)을 코딩하는 유전자; 및상기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컨스트럭트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는 상기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상류에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는 리보솜 결합 부위(Ribosome binding site; RBS), 5'-비 번역 영역(5'-Untransrated Region; 5'-UTR) 및 전사 인자 결합 부위(transcription factor binding s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4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는 상기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가 숙주 세포에 형질 전환되는 경우, 상기 숙주 세포의 주변 세포질로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5 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는 총 깁스 자유 에너지 변화량(ΔGtotal)이 0 이하인 것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6 6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는 번역 개시 속도(Translation Initiation Rate; TIR)가 특정 범위를 갖도록 조절된 것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7 7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의 번역 개시 속도는 900 내지 45000au인 것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8 8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의 서열 길이는 15 내지 39bp인 것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9 9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는 서열번호 5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10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조절 유전자에서, 상기 서열번호 5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전자 서열의 3' 말단에서 상기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개시코돈 까지의 간격이 6 내지 13bp인, 유전자 컨스트럭트
11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12 12
제 11항의 재조합 벡터가 도입되어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
13 13
벡터에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monomeric streptavidin; mSA)을 코딩하는 유전자 및 후보 조절 유전자를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 발현 조절용 조절 유전자의 스크리닝 방법
14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조절 유전자는 총 깁스 자유 에너지 변화량(ΔGtotal)이 0 이하로 조절된 것;번역 개시 속도가 900 내지 45000au 범위인 것; 서열 길이가 15 내지 39bp인 것; 서열번호 5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것; 및 서열번호 5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 서열의 3' 말단에서 개시코돈 까지의 간격(Spacing)이 6 내지 13bp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15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하는 단계 시, 상기 벡터에 말토오즈 결합 단백질(maltose-binding protein; MBP)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더 도입하는, 스크리닝 방법
16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벡터에 의해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로부터 발현되는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며 수행되는, 스크리닝 방법
17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의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 발현 수준이 상기 후보 조절 유전자가 도입되기 전에 비하여 증가한 경우, 상기 후보 조절 유전자를 상기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크리닝 방법
18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의 주변 세포질에서 발현되는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며 수행되는, 스크리닝 방법
19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의 상기 주변 세포질에서 상기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이 발현되는 경우, 상기 후보 조절 유전자를 상기 모노머형 스트렙타비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크리닝 방법
20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엔지니어드 박테리아 기반 암 정밀타격 테라노스틱 플랫폼 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남대학교 미래유망융합기술 파이오니아사업 방사선-음향영상 기반 암 표적 및 방사선 정밀 치료기술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남대학교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암 표적 살모넬라의 암사멸 기전 규명을 통한 스마트 미생물 엔지니어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