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열차제어시스템에서 이중화 시스템간 전환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200524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열차제어시스템은 LTE-R(Long Term Evolution-Railway) 통신망을 이용하는 주시스템과 상기 LTE-R 통신망과 독립된 상용 LTE 통신망을 이용하는 예비시스템으로 이중화된다. 이때 전환 장치의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방법은 상기 지상 장치로부터 상기 주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열차 제어 데이터를 제1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지상 장치로부터 상기 예비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1 열차 제어 데이터의 복제 데이터를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제1 버퍼 또는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열차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4W 24/04 (2009.01.01) H04W 24/08 (2009.01.01) H04B 17/309 (2014.01.01) H04W 4/42 (2018.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63878 (2021.05.18)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가철도공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0979 (2022.05.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46609   |   2020.11.05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국가철도공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병식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숙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동준 대전광역시 서구
4 성동일 대전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팬코리아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 역삼***빌딩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18 수리 (Accepted) 1-1-2021-0571936-6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주시스템과 예비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중화 시스템을 가지는 열차제어시스템에서 전환 장치의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방법에서, 상기 지상 장치로부터 상기 주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열차 제어 데이터를 제1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지상 장치로부터 상기 예비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1 열차 제어 데이터의 복제 데이터를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제1 버퍼 또는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열차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주시스템은 LTE-R(Long Term Evolution-Railway) 통신망을 이용하고, 상기 예비시스템은 상기 LTE-R 통신망과 독립된 상용 LTE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환 방법
2 2
제1항에서,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시스템 및 상기 예비시스템에서 발생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설정된 전환 플래그를 기반으로 상기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환 방법
3 3
제2항에서,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가 발생된 후부터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환 방법
4 4
제1항에서,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시스템 및 상기 예비시스템의 무선통신 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설정된 전환 플래그를 기반으로 상기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환 방법
5 5
제4항에서,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시스템의 무선통신 품질값이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예비시스템의 무선통신 품질값보다 좋지 않은 경우에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그리고상기 카운트의 값이 설정된 임계값보다 커지면 상기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환 방법
6 6
제1항에서,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퍼 및 상기 제2 버퍼의 패킷 지연을 측정하여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설정된 전환 플래그를 기반으로 상기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환 방법
7 7
제6항에서,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퍼 및 상기 제2 버퍼 중 상기 열차 제어 서버로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버퍼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버퍼의 패킷 지연이 설정된 임계값보다 커지면 상기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환 방법
8 8
제1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주시스템 및 상기 예비시스템에서 발생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메시지의 분석 결과, 상기 주시스템 및 상기 예비시스템의 무선통신 품질 및 상기 제1 버퍼 및 상기 제2 버퍼의 패킷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환 방법
9 9
제1항에서,상기 제1 버퍼와 상기 제2 버퍼의 데이터를 시퀀스 번호를 기준으로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환 방법
10 10
주시스템과 예비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중화 시스템을 가지는 열차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을 수행하는 전환 장치에서,상기 지상 장치로부터 상기 주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열차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지상 장치로부터 상기 예비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1 열차 제어 데이터의 복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버퍼,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전환 판단부, 그리고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제1 버퍼 또는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열차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전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시스템은 LTE-R(Long Term Evolution-Railway) 통신망을 이용하고, 상기 예비시스템은 상기 LTE-R 통신망과 독립된 상용 LTE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환 장치
11 11
제10항에서,상기 전환 판단부는 상기 이중화 시스템의 무선 연결 상태, 상기 이중화 시스템의 무선통신 품질, 상기 제1 버퍼 및 상기 제2 버퍼의 패킷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전환 장치
12 12
제11항에서,상기 주시스템 및 상기 예비시스템에서 발생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제어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RRC 제어메시지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전환 장치
13 13
제11항에서,상기 주시스템 및 상기 예비시스템의 무선통신 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무선통신 품질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환 장치
14 14
제11항에서,상기 제1 버퍼 및 상기 제2 버퍼의 패킷 지연을 측정하여 상기 주시스템과 상기 예비시스템간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 플래그를 설정하는 패킷 지연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환 장치
15 15
제10항에서,상기 제1 버퍼와 상기 제2 버퍼의 데이터를 시퀀스 번호를 기준으로 동기화시키는 패킷 동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환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철도기술연구사업 자동운전을 지원하는 ETCS L3급 고속철도용 열차제어시스템 핵심기술 및 궤도회로 기능 대체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