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자섬유 기반 전력통신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2005256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통신 시스템은, 의복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디바이스와, 상기 센서가 감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하며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디바이스 및 상기 프로세서는 센서는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통신하는 전력통신 방식으로 상호 통신하며, 상기 전기통신 방식은 센서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전력으로 통신한다.
Int. CL H04L 65/40 (2022.01.01) A61B 5/00 (2021.01.01) A61N 1/36 (2006.01.01) G06F 1/16 (2006.01.01) A61N 1/372 (2006.01.01) A61F 2/72 (2006.01.01) H04B 1/3827 (2014.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51281 (2021.11.05)
출원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1039 (2022.05.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46845   |   2020.11.05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1.05)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원윤재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차우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1.05 수리 (Accepted) 1-1-2021-1277729-2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의복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디바이스와,상기 센서가 감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하며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상기 센서, 디바이스 및 상기 프로세서는 센서는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통신하는 전력통신 방식으로 상호 통신하며,상기 전기통신 방식은 센서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전력으로 통신하는 것인 전력선통신 시스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산소포화도, 심전도, 혈압, 근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인 전력선통신 시스템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LED 제어등, 스피커,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선통신 시스템
4 4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 앞단에 위치하여 전력계통상 쇼트가 발생했을 경우 배터리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전류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통신 시스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의 물리계층 프레임은,휴면 상태에 있는 상기 센서 또는 상기 디바이스를 활성 상태로 만드는 웨이크업 시퀀스(wake-up sequence) 필드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선통신 시스템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의 물리계층 프레임은,전력 구별 필드 및 전송 속도 구별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전력선통신 시스템
7 7
의복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디바이스와,상기 센서가 감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하며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상기 센서, 디바이스 및 상기 프로세서는 센서는 상기 전력선을 매개로 통신하는 전력통신 방식으로 상호 통신하며,상기 프로세서는 무선으로 게이트웨이와 통신하고, 게이트웨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서버와 통신하는 전력선통신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전도성 섬유 기반 웨어러블 압력 스트레인 네트워크 센서 국제표준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