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Fc 알파 수용체 결합력이 증진된 항체

  • 기술번호 : KST202200532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인간 Fc알파 수용체 결합 항체 및 이를 이용한 항체의 작용기작 극대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 IgG 형태로 효과기(effector) 세포들, 특히, 포유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호중구의 Fc 알파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종래의 IgA 항체의 단점들을 극복하면서 다양한 항체 치료제에 효과기 기능을 극대화하여 항체의 작용기작 (ADCC 및 ADCP)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다양한 Fc-융합 단백질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Int. CL C07K 16/28 (2006.01.01) A61P 35/00 (2006.01.01) A61P 37/00 (2006.01.01) A61P 25/28 (2006.01.01) A61K 39/00 (2006.01.01)
CPC C07K 16/283(2013.01) A61P 35/00(2013.01) A61P 37/00(2013.01) A61P 25/28(2013.01) C07K 2317/565(2013.01) C07K 2317/622(2013.01) C07K 2317/31(2013.01) C07K 2317/92(2013.01) A61K 2039/50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47716 (2020.11.06)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1583 (2022.05.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상택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이지선 서울특별시 은평구
3 김보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1.06 수리 (Accepted) 1-1-2020-1188614-83
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1.1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230827-21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11.18 수리 (Accepted) 1-1-2020-1235035-49
4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5.04 접수중 (On receiving) 1-1-2022-0479338-79
5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5.04 접수중 (On receiving) 1-1-2022-0479373-6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2 2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Heavy chain)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를 포함하는 VH 도메인을 포함하는,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3 3
제 2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1,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2,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3 및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4를 포함하는 VH 도메인을 포함하는,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4 4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5 5
제 4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1,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2,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3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4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6 6
제 1항에 있어서, (i)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를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ⅱ)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V 도메인을 포함하는,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7 7
제 6항에 있어서, ⅰ)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2,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3,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4를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ⅱ)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1,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2,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3,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및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4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V 도메인을 포함하는,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8 8
제 1항에 있어서,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 Fab, Fd, Fab', dAb, F(ab'), F(ab')2, scFv(single chain fragment variable), Fv, 단일쇄 항체, Fv 이량체, 상보성 결정 영역 단편,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및 디아바디(diabod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9 9
제 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및 Fc 알파 수용체 이외의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10 10
제 9항에 있어서,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부분이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11 11
제 9항에 있어서, 표적 항원은 17-1A 항원, GD3 갱글리오시드 R24, EGFRvⅢ, PSMA, PSCA, HLA-DR, EpCAM, MUC1 코어 단백질, 이상 글리코실화 MUC1, ED-B 도메인을 함유하는 피브로넥틴 이형, HER2/neu, 암종배아성 항원(CEA), 가스트린-방출 펩티드(GRP) 수용체 항원, 뮤신(mucine) 항원,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HER3, HER4, MAGE 항원, SART 항원, MUC1 항원, c-erb-2 항원, TAG 72, 탄산 무수화효소 IX(carbonic anhydrase IX), 알파-태아단백질(alpha-fetoprotein), A3, A33 항체에 특이적인 항원, Ba 733, BrE3-항원, CA125, CDl, CD1a, CD3, CD5, CDl5, CD16, CD19, CD20, CD21, CD22, CD23, CD25, CD30, CD33, CD38, CD40, CD45, CD52, CD74, CD79a, CD80, CD138, 결장-특이적 항원-p(CSAp), CSAp, EGP-1, EGP-2, Ep-CAM, FIt-1, Flt-3, 폴산염 수용체(folate receptor), HLA-DR,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및 그 소단위체들, 저산소증 유도 인자(HIF-I), Ia, IL-2, IL-6, IL-8, 인슐린 성장 인자-1(IGF-1), KC4-항원, KS-1-항원, KSl-4, Le-Y, 대식세포 억제 인자(MIF), MAGE, MUCl, MUC2, MUC3, MUC4, NCA66, NCA95, NCA90, PAM-4 항체에 특이적인 항원, 태반 성장 인자, p53, 전립선 산성 포스파타제(prostatic acid phosphatase), PSA, RS5, SlOO, TAC, 테나신(tenascin), TRAIL 수용체들, Tn 항원, 톰슨-프리덴라이히(Thomson-Friedenreich) 항원들, 종양 괴사 항원들, VEGF, ED-B 피브로넥틴(fibronectin), 혈관형성 표지(angiogenesis marker), 종양유전자 표지(oncogene marker) 또는 종양유전자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12 12
제 11항에 있어서, 종양유전자는 SEPTIN9, ACOD1, ACTN4, ADAM28, ADAM9, ADGRF1, ADRBK2, AFF1, AFF3, AGAP2, AGFG1, AGRN, AHCYL1, AHI1, AIMP2, AKAP13, AKAP9, AKIRIN2, AKTIP, ALDH1A1, ALL1, ANIB1, ANP32C, ANP32D, AQP1, ARAF, ARHGEF1, ARHGEF2, ARHGEF5, ASPSCR1, AURKA, BAALC, BAIAP2L1, BANP, BCAR4, BCKDHB, BCL9, BCL9L, BCR, BMI1, BMP7, BOC, BRD4, BRF2, CABIN1, CAMK1D, CAPG, CBFB, CBLB, CBLL1, CBX7, CBX8, CCDC28A, CCDC6, CCNB1, CCNB2, CCND1, CCNE1, CCNL1, CD24, CDC25C, CDC6, CDH17, CDK1, CDK14, CDK4, CDK5R2, CDK6, CDK8, CDKN1B, CDKN3, CDON, CEACAM6, CENPW, CHD1L, CHIC1, CHL1, CKS1B, CMC4, CNTN2, COPS3, COPS5, CRKL, CRLF2, CROT, CRTC1, CRYAB, CSF1R, CSF3, CSF3R, CSNK2A1, CSNK2A2, CT45A1, CTBP2, CTNND2, CTSZ, CUL7, CXCL1, CXCL2, CXCL3, CYGB, CYP24A1, DCD, DCUN1D1DDB2, DDHD2, DDX6, DEK, DIS3, DNPH1, DPPA2, DPPA4, DSG3, DUSP12, DUSP26, ECHS1, ECT2, EEF1A1, EEF1A2, EEF1D, EIF3E, EIF3I, EIF4E, EIF5A2, ELAVL1, ELL, EML4, EMSY, ENTPD5, EPCAM, EPS8, ERAS, ERGIC1, ERVW-1, EVI2A, EVI5, EWSR1, EZH2, FAM189B, FAM72A, FAM83D, FASN, FDPS, FGF10, FGF3, FGF5, FGF8, FR1OP, FHL2, FIP1L1, FNDC3B, FRAT1, FUBP1, FUS, FZD2, GAB2, GAEC1, GALNT10, GALR2, GLO1, GMNN, GNA12, GNA13, GNAI2, GNAQ, GNAS, GOLPH3, GOPC, GPAT4, GPM6A, GPM6B, GPR132, GREM1, GRM1, GSK3A, GSM1, H19, HAS1, HAX1, HDGFRP2, HMGN5, HNRNPA1, HOTAIR, HOTTIP, HOXA-AS2, HRAS, HSPA1A, HSPA4, HSPB1, HULC, IDH1, IFNG, IGF2BP1, IKBKE, IL7R, INPPL1, INTS1, INTS2, INTS3, INTS4, INTS5, INTS7, INTS8, IRS2, IST1, JUP, KDM4C, KIAA0101, KIAA1524, KIF14, KRAS, KSR2, LAMTOR5, LAPTM4B, LCN2, LDHB, LETMD1, LIN28A, LIN28B, LMO1, LMO2, LMO3, LMO4, LSM1, LUADT1, MACC1, MACROD1, MAGEA11, MALAT1, MAML2, MAP3K8, MAPRE1, MAS1, MCC, MCF2, MCF2L, MCTS1, MEFV, MFHAS1, MFNG, MIEN1, MINA, MKL2, MLANA, MLLT1, MLLT11, MLLT3, MLLT4, MMP12, MMS22L, MN1, MNAT1, MOS, MPL, MPST, MRAS, MRE11A, MSI1, MTCP1, MTDH, MTOR, MUC1, MUC4, MUM1, MYD88, NAAA, NANOGP8, NBPF12, NCOA4, NEAT1, NECTIN4, NEDD4, NEDD9, NET1, NINL, NME1, NOTCH1, NOTCH4, NOV, NSD1, NUAK2, NUP214, NUP98, NUTM1, OLR1, PA2G4, PADI2, PAK7, PARK7, PARM1, PBK, PCAT1, PCAT5, PDGFA, PDZK1IP1, PELP1, PFN1P3, PIGU, PIK3CA, PIK3R1, PIM1, PIM2, PIM3, PIR, PIWIL1, PLAC8, PLK1, PPM1D, PPP1R10, PPP1R14A, PPP2R1A, PRAME, PRDM12, PRMT5, PSIP1, PSMD10, PTCH2, PTMA, PTP4A1, PTP4A2, PTP4A3, PTTG1, PTTG1IP, PTTG2, PVT1, RAB11A, RAB18, RAB22A, RAB23, RAB8A, RALGDS, RAP1A, RASSF1, RBM14, RBM15, RBM3, RBMY1A1, RFC3, RGL4, RGR, RHO, RING1, RINT1, RIT1, RNF43, RPL23, RRAS, RRAS2, RSF1, RUNX1T1, S100A4, S100A7, S100A8, SAG, SART3, SBSN, SEA, SEC62, SERTAD1, SERTAD2, SERTAD3, SET, SETBP1, SETDB1, SGK1, SIRT1, SIRT6, SKI, SKIL, SKP2, SLC12A5, SLC3A2, SMR3B, SMURF1, SNCG, SNORA59A, SNORA80E, SPAG9, SPATA4, SPRY2, SQSTM1, SRSF1, SRSF2, SRSF3, SRSF6, SS18, SSX1, SSX2, SSX2B, STIL, STMN1, STRA6, STYK1, SUZ12, SWAP70, SYT1, TAC1, TACSTD2, TAF15, TALDO1, TAZ, TBC1D1, TBC1D15, TBC1D3, TBC1D3C, TBC1D7, TCL1A, TCL1B, TCL6, TCP1, TFG, TGM3, TINCR, TKTL1, TLE1, TMEM140, TMPOP2, TMPRSS2, TNS4, TPD52, TPR, TRE17, TREH, TRIB1, TRIB2, TRIM28, TRIM32, TRIM8, TRIO, TRIP6, TSPAN1, TSPY1, TXN, TYMS, TYRP1, UBE2C, UBE3C, UCA1, UCHL1, UHRF1, URI1, USP22, USP4, USP6, VAV1, VAV2, VAV3, VIM, WAPL, WHSC1, WHSC1L1, WISP1, WNT1, WNT10A, WNT10B, WNT2, WNT3, WNT5A, WWTR1, XCL1, XIAP, YAP1, YEATS4, YY1AP1, ZEB1-AS1, ZFAND4, ZFAS1, ZMYM2, ZNF703 및 ZNHIT6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13 13
제 9항에 있어서, 표적 항원은 세포 표면 항원인,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14 14
제 13항에 있어서, 세포 표면 항원은 CEA, ED-B 피브로넥틴, CD20, CD22, CDl9, EGFR, IGFlR, VEFGRl/Flt-1, VEGFR2/KDR, VEGRF3/Flt-4, HER2/neu, CD30, CD33, CD3, CD16, CD64, CD89, CD2, 아데노바이러스 섬유 놉, PfMSP-1, HN/NDV, EpCAM/17-lA, hTR, IL-2R/Tac, CAl9-9, MUCl, HLA 클래스 II, GD2, G250, TAG-72, PSMA, CEACAM6, HMWMAA, CD40, Ml3 외피 단백질 및 GPIIb/III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15 15
제 9항에 있어서, 표적 항원은 자가항원인,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16 16
제 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또는 제 9항의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를 코딩하는 단리된 핵산 분자
17 17
제 16항의 단리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18 18
제 17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
19 19
제 9항의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자가면역 질환, 퇴행성신경 질환(neurodegerative disease), 알츠하이머병, 대사 질환(metabolic disease),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기관 이식 거부반응, 진균,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기생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 또는 증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0 20
제 19항에 있어서, 암은 뇌종양, 흑색종, 골수종, 비소세포성폐암, 구강암, 간암, 위암, 결장암, 유방암, 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대장암, 소장암, 직장암, 나팔관암종, 항문부근암, 자궁내막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임파선암, 방광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암종, 중추신경계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21 21
a) 제 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코딩하는 단리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b) 숙주 세포 배양물로부터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c 알파 수용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제조하는 방법
22 22
a) 제 9항의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를 코딩하는 단리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b) 숙주 세포 배양물로부터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c 알파 수용체 및 Fc 알파 수용체 이외의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포유류 세포 디스플레이,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및 Fc repertoire 분석을 기반으로 한 치료용 항체의 표적세포 살상 작용 기작 극대화 기반 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기초연구지원사업 (기본연구) 인간 Fc감마 수용체 엔지니어링을 이용한 단백질 치료제의 혈중 지속성 연장 기술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기초연구지원사업 (기초연구실) 면역관문 억제 항체치료 불응암 통합 제어 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