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 기술번호 : KST202200554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촉매 기술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온의 수열 처리 후에도 포화탄화수소 제거 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반응 활성과 수열 안정성을 향상시킨 포화탄화수소 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에 관한 것이다.
Int. CL B01J 37/02 (2006.01.01) B01J 37/10 (2006.01.01) B01J 37/30 (2006.01.01) B01J 29/74 (2006.01.01) B01J 23/42 (2006.01.01) B01J 23/44 (2006.01.01) B01J 23/02 (2006.01.01) B01D 53/94 (2006.01.01) F01N 3/10 (2006.01.01)
CPC B01J 37/0201(2013.01) B01J 37/10(2013.01) B01J 37/30(2013.01) B01J 29/74(2013.01) B01J 23/42(2013.01) B01J 23/44(2013.01) B01J 23/02(2013.01) B01D 53/945(2013.01) F01N 3/10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50522 (2020.11.11)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4236 (2022.05.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1.11)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성준 광주광역시 북구
2 박순희 광주광역시 광산구
3 이관영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아이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로 ***-*, 비동 ***호 (마곡동, 두산더랜드파크)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1.11 수리 (Accepted) 1-1-2020-1209041-69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0.11.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0-0173519-62
3 지분약정 무효처분통지서
Notice for Invalidation of Share Agreement
2021.01.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003614-49
4 [출원인지분변경]권리관계변경신고서
[Applicant Share Change] Report on Change of Proprietary Status
2021.02.09 수리 (Accepted) 1-1-2021-0165453-56
5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1.02.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025735-70
6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3.15 수리 (Accepted) 1-1-2021-0303999-66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2.03.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235670-1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촉매지지체로서 알칼리 금속이온(A)이 함유된 제올라이트(A-Z)를 수열 합성하는 제1단계;상기 제올라이트(A-Z)에 포함된 알칼리금속이온(A)을 알칼리 토금속이온(M)으로 이온교환하여 M-Z 촉매지지체를 준비하는 제2단계; 및상기 M-Z 촉매지지체에 귀금속 이온을 담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제조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올라이트는 AFX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제조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는 상기 합성된 제올라이트(A-Z)에 포함된 알칼리금속이온(A)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알칼리금속이온(A)이 제거된 제올라이트(Z)에 알칼리토금속염 용액을 처리하여 이온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제조방법
4 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알칼리토금속염 용액은 Ca염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제조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귀금속 이온은 Pt, Pd, Ir, Rh, Ru, Os, Ti, Re, Cr, Ag, Au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제조방법
6 6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귀금속 이온이 2개 담지되는 경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M-Z 촉매지지체에 제1귀금속이온이 포함된 제1전구체용액을 함침시켜 건조한 후, 소성하여 수소 처리하는 제1귀금속담지단계; 및 상기 제1귀금속이 담지된 M-Z촉매지지체에 제2귀금속이온이 포함된 제2전구체용액을 함침시켜 건조한 후 수소처리하는 제2귀금속담지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제조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담지되는 귀금속이온은 Pt 및 P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제조방법
8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귀금속이온과 알칼리토금속 이온이 포함된 AFX 구조를 갖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9 9
제 8 항에 있어서,촉매 1g 당 상기 귀금속이온이 0
10 10
제 9 항에 있어서,700℃ 내지 900℃에서 수열처리 후의 표면적 감소율이 수열처리 전과 비교하여 1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11 11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알칼리토금속은 Ca이고, 상기 귀금속이온은 Pt 및 P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탄화수소제거용 귀금속 담지 제올라이트 촉매
12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Pt 및 Pd는 각각 0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초저에너지 자동차 초저배출 사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