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하이브리드 복합체 및 물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571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신규한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브리드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체는 상기 그라파이트 코어입자의 표면에 그래핀 나노시트 및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로 나노시트를 포함하는2차원 이종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전극 활물질로 활용되었을 때,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어 리튬-이온 배터리 등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활용될 수 있다.
Int. CL H01M 4/36 (2006.01.01) H01M 4/58 (2015.01.01) H01M 4/587 (2010.01.01) C01G 39/06 (2006.01.01) H01M 10/0525 (2010.01.01) C01B 32/184 (2017.01.01) C01B 19/00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53909 (2021.11.10)
출원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3751 (2022.05.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49702   |   2020.11.1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1.10)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하나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상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유정준 대전광역시 서구
4 정규남 대전광역시 서구
5 류명현 충북 청주시 청원구
6 양정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7 이영아 대전광역시 유성구
8 장규연 세종특별자치시 새롬중앙로
9 신현섭 대전광역시 서구
10 김지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담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A동 ***호(삼평동, 유스페이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1.10 수리 (Accepted) 1-1-2021-1296257-76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1.12.02 수리 (Accepted) 4-1-2021-5315595-36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5.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제1 나노시트의 벌크 물질 분말에 알칼리 이온 전구체 용액을 혼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상기 혼합물을 음파(sonication) 처리하여 다층 구조의 상기 제1 나노시트의 3차원 벌크 물질의 층간에 알칼리 이온을 삽입(intercalation)하는 단계;음파 처리 후 혼합물에 물(H2O)를 주입하는 단계; 제2 나노시트에 계면활성제를 적용하는 단계; 물을 적용한 제1 나노시트 혼합물 및 상기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제2 나노시트를 혼합하여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해 결합시키는 단계; 및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고 계면활성제를 제거하여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시트 또는 제2 나노시트는 그래핀 또는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시트는 MoSe2, MoS2, WS2, WSe2, TiS2, TiSe2, ReS2, ZrTe2, NbSe2 중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이고, 상기 제2 나노시트는 그래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CTAB(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DODAB (n-dodecyl trimethylammonium bromide), HTAB (n-hexadecyl trimethylammonium bromide), DTAB (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CPC(cetylpyridinium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이온은 리튬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4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노시트는 벌크 물질을 액상에서 음파 처리하여 박리된 나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처리는 0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처리와 동시에 교반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체의 제조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은 음파 처리 중 복수 회에 걸쳐 수행되고, 1회 당 0
12 12
제1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하이브리드 복합체
13 13
제1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
14 14
제13항에 따른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애노드;캐소드; 및상기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VC(vinylene carbonate), FEC(fluoroethylene carbonate), 및 TMS-ON(3-(trimethylsilyl)-2-oxazolidino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배터리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소자용 2차원 이종 다층 소재 원천 및 양산기술 개발
2 산림청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목재자원의고부가가치첨단화기술개발(R&D) 미활용 산림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생분해성 에너지저장 전극 소재 및 소자 개발
3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농업에너지자립형산업모델기술개발(R&D) 목질계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고성능 탄소전극 소재 및 생산장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