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리튬-이온 전지 성능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2005719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리튬-이온 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 예측 방법, 구체적으로는 2차원 이종적층구조의 전극 활물질에 따른 전지 성능을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nt. CL G01R 31/367 (2019.01.01) G01R 31/36 (2019.01.01) H01M 4/36 (2006.01.01) H01M 4/587 (2010.01.01) H01M 4/58 (2015.01.01) H01M 10/052 (2010.01.01) G06F 30/398 (2020.01.01)
CPC G01R 31/367(2013.01) G01R 31/3648(2013.01) H01M 4/364(2013.01) H01M 4/587(2013.01) H01M 4/5815(2013.01) H01M 10/052(2013.01) G06F 30/39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49720 (2020.11.10)
출원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3643 (2022.05.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1.10)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강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리즈키 타마라니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정원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향선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5 윤하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담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A동 ***호(삼평동, 유스페이스*)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1.10 수리 (Accepted) 1-1-2020-1203260-11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1.12.02 수리 (Accepted) 4-1-2021-5315595-3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종적층구조의 전극 활물질에 따른 전지 성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서,2차원 구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2 이상의 상기 2차원 구조에 기초하여 2차원 이종적층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복수의 상기 2차원 이종적층구조 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최적 2차원 이종적층구조를 구조적으로 최적화하는 단계;상기 구조적으로 최적화된 2차원 이종적층구조의 양이온 삽입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상기 양이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 결과로부터 방전 전압 및 용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성능 예측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은 리튬 이온(L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리튬-이온 전지이고,상기 전극은 애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2차원 구조는 CIF 또는 POSCAR 지원양식으로 제공되는,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이종적층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는, 2차원 구조로부터 주어진 조건 내에서 격자상수(lattice parameter)의 불일치(mismatch)가 가장 작은 슈퍼셀(super-cell) 조합을 자동으로 탐색하여 이종적층 구조를 생성하는 것인,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이종적층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최대 격자상수, 최소 격자상수, 최대 불일치(mismatch) 범위 또는 층간 거리(interlayer distance) 설정 값을 기준으로 탐색하는 것인, 방법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이종적층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 구조의 방향에 상관없이 진공(vacuum) 영역을 감지하여 평면 외(out of plane) 방향을 z축으로 자동 설정하고, 슈퍼셀(super-cell) 탐색 시 육각형(hexagonal) 구조를 직사각형(rectangular) 구조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며, 아래 식 1과 같이 적층시 각 층의 평면 내(in-plane) 방향 시프트를 통해 층간의 원자간 최소거리를 최대화하는 구조 생성하는 것인 방법:[식 1]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이종적층구조를 구조적으로 최적화하는 단계는, 범밀도함수(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기반의 양자화학계산을 통해 구조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인,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이종적층구조의 양이온 삽입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는, 구조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 분석을 통해 양이온 삽입 위치 후보 선별하는 것, 아래 식 2의 DFT 계산을 통해 각 위치 별 1차 양이온 삽입 에너지를 계산하는 것 및 가장 낮은 양이온 삽입 에너지 구조로부터 양이온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식 2]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계산하는 단계는, 가장 안정한 양이온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층의 슈퍼셀 사이즈(super-cell size)를 토대로 총 삽입 위치를 도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계산하는 단계는, 각 단계마다 기 삽입된 양이온 원자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삽입 위치에 삽입하는 구조를 계산하는 것인,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마다 기 삽입된 양이온 원자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삽입 위치에 삽입하는 구조를 계산하는 것은, i번째 양이온 삽입 위치를 결정할 때, 아래 식 3이 최대가 되는 양이온 삽입 구조를 DFT 계산하는 것인, 방법:[식 3](상기 식 3에서, Lii는 i번째 양이온 삽입 위치이고, Lij는 j번째 양이온 삽입 위치이며, 는 i번째 양이온 삽입 위치와 j번째 양이온 삽입 위치 간의 거리이다)
1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결과로부터 방전 전압 및 용량을 도출하는 단계;는, 하프셀(half-cell) 전압 및 최대 양이온 삽입 용량을 도출하는 것인, 방법
14 14
제1항의 예측 방법에 따른 전지 성능 예측 시스템
15 15
제12항의 예측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지 성능 예측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소자용 2차원 이종 다층 소재 원천 및 양산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