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활성성분을 다량 함유한 한국특산 자생 식물인 산짚신나물 정제 분획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2006852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정제물(APK200608) 및 이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정제물(APK200608)은 기존 추출방법으로 제조된 종래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추출물보다 항염증 성분인 루테올린(Luteolin) 함량은 4.86배, 아피게닌(Apigenin)의 함량은 최대 7.3배 증대되는 예상하지 못한 다량의 항염성분을 함유한 것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실시예 1), 종래 추출물에서 얻을 수 없었던 알피톨릭산 (alphitolic acid) 성분을 함유함을 확인하였으며(실시예 2); 인간혈액에서 분리한 T 세포 증식억제실험(실험예 1); Jurkat T 세포의 IL-2 분비 억제실험 (실험예 2); 비만세포(RBL-2H3)의 탈과립 억제실험(실험예 3); 실험예 4. 세포내칼슘신호를 조절하는 ORAI1 이온통로의 억제실험(실험예 4) 등을 통하여 본원 발명의 신규 정제물이 종래 방법으로 추출한 짚신나물 추출물에 비해,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한 염증성 싸이토카인 분비, 비만세포 탈과립, 칼슘신호 관련 이온통로 활성, CD4+ T 세포 증식을 당업자가 예기치 못한 탁월한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서,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A61K 36/73 (2006.01.01) A61K 31/7048 (2006.01.01) A61K 31/352 (2006.01.01) A61P 29/00 (2006.01.01) A61P 37/08 (2006.01.01) A61P 17/00 (2006.01.01) A23L 33/105 (2016.01.01) A23L 33/125 (201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61186 (2021.05.12)
출원인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52259 (2022.04.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35543   |   2020.10.19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5.12)
심사청구항수 2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우경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2 남주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신동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길 **, 브이 샤르망 ***호 동인국제특허법률사무소 (서초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12 수리 (Accepted) 1-1-2021-0547857-47
2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2.09 수리 (Accepted) 1-1-2022-0147747-97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2.2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2.03.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2-0072447-83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2.04.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317088-4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전체 추출물 100% 중량 대비(w/w), 루테올린(Luteolin) 7-글루쿠로니드(glucuronide) 0
2 2
구성성분간의 상대 배합 중량 비(w/w)가 루테올린(Luteolin) 7-글루쿠로니드(glucuronide) 400
3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은 한국특산 자생 식물로서, 충청도, 전라도 또는 경상도 남해 지역에 자생하는 산짚신나물 지상부, 전초, 잎, 줄기, 또는 뿌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유래 정제물(APK200608)
4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건조 상태의 충청도, 전라도 또는 경상도 남해 지역에 자생하는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지상부, 전초, 잎, 줄기, 또는 뿌리에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가하여 10℃ 내지 10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72시간 동안 냉침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열수 추출법, 상온 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추출법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을 1 내지 20회 반복 수행하여 얻은 추출액을 회수하여 제 1차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의 제 1차 추출액을 역상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법(Reverse phase partition chromatography), 순상 크로마토그래피법(Normal phase partition chromatography),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법(ion exchange chromatography),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추가 정제방법을 수행하는 제 2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항염, 항알레르기 또는 항아토피 활성을 갖는, 전체 추출물 100% 중량 대비(w/w), 루테올린(Luteolin) 7-글루쿠로니드(glucuronide) 0
5 5
건조 상태의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충청도, 전라도 또는 경상도 남해 지역에 자생하는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지상부, 전초, 잎, 줄기, 또는 뿌리에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가하여 10℃ 내지 10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72시간 동안 냉침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열수 추출법, 상온 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추출법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을 1 내지 20회 반복 수행하여 얻은 추출액을 회수하여 제 1차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의 제 1차 추출액을 역상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법(Reverse phase partition chromatography), 순상 크로마토그래피법(Normal phase partition chromatography),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법(ion exchange chromatography),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추가 정제방법을 수행하는 제 2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항염, 항알레르기 또는 항아토피 활성을 갖는, 제 1항의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유래 정제물(APK200608)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6 6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역상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법은 세파덱스(Sephadex), 세파덱스 LH20, 세파덱스 G-25, 세파덱스 G-10, 세파로스(Sepharose), 수퍼덱스(Superdex), 메틸아크릴레이트 수지,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설포프로필 셀룰로스, 카복시메틸 세파덱스, 설포프로필 세파덱스, 설포프로필 세파로스 및 카복시메틸 세파로스를 포함하는 세파덱스 계열 수지; 폴리머(Polymer) X, HP20, 또는 PRP-h1 Polymer의 스틸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Stylene-divinylbenzen co-polymer) 제품군, 메타아크릴레이트 (Methacrylate) 지지체 제품군의 역상폴리머 수지; 머크(Merck)사의 흡착 BPC(Bonded phase Chromatography) 제품군, YMC사의 Silica 제품군, DAISO사의 Silica 제품군, ASAHI사의 Silica 제품군, COSMOSYL사의 Silica 제품군의 순상 실리카겔; 주로 HPLC 충진제로 사용되는 YMC사의 ODS 제품군, DAISO사의 ODS 제품군, ASAHI사의 ODS 제품군, CHEMCO사의 ODS 제품군, Merck사의 ODS 제품군, COSMOSYL사의 ODS 제품군, FUJI사의 ODS 제품군의 역상 실리카겔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를 정지상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7
제 5항에 있어서,상기 (a) 역상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법에서, 정지상은 역상 컬럼 물질로서, 극성 물질들을 먼저 용리되고, 비-극성 화합물이 정지상에 보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고정상으로서, 소수성 물질이 부착될 수 있는 고정상,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Silica Gel) 기반 고정상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등의 고분자 기반 고정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C2, C4, C6, C8, C10, C12, C14, C16, 또는 C18 또는 이의 실리카겔 유도체 또는 PS-2, Oasisⓡ HLB, 등의 고분자 기반 고정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역상 실리카겔 (C18(IV)-D), (YMC사의 ODS-A/ODS-AQ 제품군, CHMECO사의 SP-C-ODS 제품군, DAISO사의 SP-ODS-RPS 제품군, COSMOSYL사의 5C18 제품군, FUJI사의 Chromatorex 제품군) 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8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이동상은 증류수,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콜 용매, 테트라히그로퓨란 또는 이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콜 용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및 메탄올 혼합용매를 90:10 (v/v)을 시작하여 60:40의 비율을 조절하여 극성 물질을 용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9
제 5항에 있어서,상기 (b) 순상 크로마토그래피법에서는 정지상은 순상 컬럼 물질로서, 비극성 물질들을 먼저 용리되고, 극성 화합물이 정지상에 보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고정상으로서, 친수성 물질이 부착될 수 있는 고정상,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Silica Gel), 후로리실(Fluorosyl), 알루미나 기반 고정상, CN, 디올, NH2 성 고정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역상 실리카겔 또는 이의 실리카겔 유도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역상 실리카겔 (C18(IV)-D), (YMC사의 ODS-A/ODS-AQ 제품군, CHMECO사의 SP-C-ODS 제품군, DAISO사의 SP-ODS-RPS 제품군, COSMOSYL사의 5C18 제품군, FUJI사의 Chromatorex 제품군)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이동상은 헥산, 헵탄, 초산에틸, 에탄올, 디에틸에테르, 2-프로판올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11
제 5항에 있어서,상기 (c) 이온교환 수지 컬럼크로마토그래법(Ion Exchange resin columm Chromatography)에서는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물질"은 크로마토그래피 작용기로서 공유 결합된 하전된 기를 갖는 부동의 모든 고분자량 고형상을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양이온교환수지, 음이온교환수지, 또는 합성 흡착제를 사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 보다 바람직하게는, AG 50W-x8, 앰버라이트 (Amberlite) IR-120, 도웩스(Dowex) 50W-x8 및 SK1B 등과 같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Amberlite) IRC-50, 바이오-렉스(Bio-Rex) 70, 듀올라이트 (Duolite)-436 및 WK40 등과 같은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Amberlite) IRA-67 및 도웩스(Dowex) 3-x4A 등과 같은 약염기성 양이온 교환수지; Diaion HP-20, DIAION SK1B, DIAION PK216, DIAION CR11, DIAION CR20, DIAION UBK555(Mitsubishi Chemical co
12 12
제 5항에 있어서,상기 (d)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에서는, 겔은 전형적으로 덱스트란-기반 겔, 예를 들어, Sephadex(예를 들어, Sephadex G-25)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예를 들어, Sephacryl(예를 들어, Sephacryl-S400), 아가로오스-기반 겔, 예를 들어, Superose 또는 Sepharose(예를 들어, Sepharose CL-4B),및 2 종류의 겔로부터 제조된 복합 겔, 예를 들어, Superdex 200 조합 Dextran(Sephadex™) 및 가교된 Agarose(Superose™) 겔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중합 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완충액은 소듐 포스페이트, 암모늄 아세테이트, MES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Bis-Tris (2-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ADA (N-(2-아세트아미도) 이미노디아세트산), PIPES (피페라진-N,N'-비스(2-에탄설폰산), ACES (N-(2-아세트아미도)-2-아미노에탄설폰산), BES (N,N-비스(2-히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설폰산), MOPS (3-(N-모르폴리노) 프로판설폰산), TES (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설폰산), HEPES (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설폰산), 바람직하게는 소듐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아세테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13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정제물(APK20060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4 14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정제물(APK200608)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한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5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6 16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는 과민증, 알러지성 비염,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곤충 알러지, 식품알러지 또는 약품 알러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7 17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정제물(APK20060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8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약학 투여형태 또는 티백제, 침출차, 건강 음료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19 19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정제물(APK20060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20 20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정제물(APK20060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21 21
한국특산 자생식물인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ana NAKA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정제물(APK20060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첨가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ㆍ의료기술개발사업 짚신나물 활용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의 유효성 평가 및 IND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