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7494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미세조직 분율로 소재의 강도를 예측하는 선형회귀적 기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조직의 다양한 조합을 조사하여 후방 전파(back propagation) 선형 회귀 및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강도 강의 항복 강도, 극한 인장 강도 및 항복비를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은, 5개 미세 구조의 부피 비율을 입력(input layer)하는 제1단계; 상기 5개 미세 구조의 부피 비율에 곱셈 무게를 각각 곱한 후(weight update) 합계를 구하여 순값(net value)을 계산하는 제2단계; 상기 계산된 순값(net value)의 구배 강하(Gradient Descent)를 획득하는 제3단계; 상기 순값(net value)에 구배 강하(Gradient Descent)에서 획득된 가중치 업데이트로써 후방 전파(back propagation)하여 상기 제1단계의 입력(input layer)된 값과 예측값 사이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제4단계;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최종 예측값을 도출하는 제5단계;에 의해 수행하되, 상기 제5단계에서 도출된 예측값은 항복강도(yield strength, YS),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 및 항복비(yield ratio, Y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t. CL G06F 30/27 (2020.01.01) G06F 17/18 (2006.01.01) G06N 3/08 (2006.01.01)
CPC G06F 30/27(2013.01) G06F 17/18(2013.01) G06N 3/08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57374 (2020.11.23)
출원인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70634 (2022.05.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1.23)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효경 경남 진주시
2 이정섭 경남 진주시
3 박상은 부산 강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석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우동) KNN타워 ****호(브릿지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1.23 수리 (Accepted) 1-1-2020-1253807-02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1.04 수리 (Accepted) 1-1-2021-0006402-09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1.03.05 수리 (Accepted) 4-1-2021-5079964-11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7.1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10.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233083-10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12.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992198-29
7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2.02.21 수리 (Accepted) 1-1-2022-0193802-23
8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2.03.21 수리 (Accepted) 1-1-2022-0298900-84
9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2.04.19 수리 (Accepted) 1-1-2022-0416529-83
10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2.05.20 수리 (Accepted) 1-1-2022-0533626-70
11 지정기간연장 관련 안내서
Notification for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22.05.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2-0077433-8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합금의 항복 강도(σY)는,개별 경화 매개변수의 합계인 아래 [수학식 6]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수학식 6](여기서, σ0는 단일 결정 순철의 마찰 응력, σss는 고체 용액 경화, σgb는 입자 경계 경화, σdis는 전위 경화, σppt는 석출 경화이다)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학식 6]에서,는 σppt가 σdis보다 훨씬 클 때 (σppt + σdis)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학식 6]에서 상기 고체 용액 경화(σss)는,아래 [수학식 2]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수학식 2]
4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학식 6]에서 입자 경계 경화(σgb)는,아래 [수학식 3]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수학식 3](여기서, d는 입자 크기이다)
5 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학식 6]에서 전위 경화(σdis)는,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수학식 4](여기서, M은 테일러 인자, α은 재료상수, G는 전단계수, b는 버거스 벡터, ρtotal은 총 전위 밀도이다)
6 6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학식 6]에서 상기 석출 경화(σppt)는,아래 [수학식 5]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수학식 5](여기서, ν은 포아송의 비율, L은 입자 사이의 평균 간격, M은 테일러 인자, G는 전단계수, b는 버거스 벡터, x는 입자의 평균 지름이다)
7 7
구배 강하(Gradient Descent)가 있는 선형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다각형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 PF), 침상형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AF), 입상형 베이나이트(granular bainite, GB), 베이나이트 페라이트(bainitic ferrite, BF),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M)의 강도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8 8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구배 강하(Gradient Descent)는 아래 [수학식 7]에 의해 계산되어,최저점을 획득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 [수학식 7](여기서, j=1 및 j=0일 경우 이고, θj는 가상의 가중치, α은 구배 강하 학습률이다)
9 9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선형 회귀 분석은, [수학식 8] 및 [수학식 9]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 [수학식 8][수학식 9](θj는 가상의 가중치이고, hθ(xi)는 i 번째 입력에 대해 예측된 y값, j는 피쳐 인덱스 번호(0,1,2,
10 10
제 7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강도는,항복강도(yield strength, YS),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 및 항복비(yield ratio, Y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11 11
5개 미세 구조의 부피 비율을 입력(input layer)하는 제1단계;상기 5개 미세 구조의 부피 비율에 곱셈 무게를 각각 곱한 후(weight update) 합계를 구하여 순값(net value)을 계산하는 제2단계;상기 계산된 순값(net value)의 구배 강하(Gradient Descent)를 획득하는 제3단계;상기 순값(net value)에 구배 강하(Gradient Descent)에서 획득된 가중치 업데이트로써 후방 전파(back propagation)하여 상기 제1단계의 입력(input layer)된 값과 예측값 사이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제4단계;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최종 예측값을 도출하는 제5단계;에 의해 수행하되,상기 제5단계에서 도출된 예측값은,항복강도(yield strength, YS),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 및 항복비(yield ratio, Y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12 12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5개 미세 구조는,다각형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 PF), 침상형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AF), 입상형 베이나이트(granular bainite, GB), 베이나이트 페라이트(bainitic ferrite, BF),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13 13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구배 강하(Gradient Descent)는 [수학식 7]에 의해 계산되어, 최저점을 획득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 [수학식 7](여기서, j=1 및 j=0일 경우 이고, θj는 가상의 가중치, α은 구배 강하 학습률이다)
14 14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선형 회귀 분석은, [수학식 8] 및 [수학식 9]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소재의 미세조직 분율을 이용한 선형회귀적 강도 예측방법 : [수학식 8][수학식 9](θj는 가상의 가중치이고, hθ(xi)는 i 번째 입력에 대해 예측된 y값, j는 피쳐 인덱스 번호(0,1,2,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창원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메카트로닉스 융합 부품 소재 연구센터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상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항공용 금속 3D 프린팅 소재의 피로 수명 예측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