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AIMP2 및/또는 AIMP2 응집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 기술번호 : KST202200797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AIMP2 및/또는 AIMP2 응집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5B2 클론 및 6C7 클론에서 생산되는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 AIMP2 응집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3C2 클론 및 7H9 클론에서 생산되는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 정상 구조의 AIMP2 모노머와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13H9 클론에서 생산되는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 AIMP2 응집체 및 정상 구조의 AIMP2 모노머 모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므로, AIMP2 또는 AIMP2 응집체와 관련된 질병, 특히, 신경퇴행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t. CL C07K 16/18 (2006.01.01) A61P 25/28 (2006.01.01) G01N 33/68 (2006.01.01) A61K 39/00 (2006.01.01)
CPC C07K 16/18(2013.01) A61P 25/28(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33/6854(2013.01) C07K 2317/565(2013.01) C07K 2317/24(2013.01) A61K 2039/50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65379 (2020.12.01)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76658 (2022.06.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1.03)
심사청구항수 2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연종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2 신정용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2 공병욱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봉천동), ***호(제니스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01 수리 (Accepted) 1-1-2020-1296771-98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1.01.14 수리 (Accepted) 1-1-2021-0049398-44
3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1.11.03 수리 (Accepted) 1-1-2021-1269922-0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IMP2(Aminoacyl-tRNA synthetase complex interacting multifunctional protein-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2 2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CDRH(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Heavy chain)1, 서열번호 4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번호 7 내지 9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CDRH3를 포함하는 VH 도메인을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3 3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0 내지 2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FR1, 서열번호 23 내지 25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FR2, 서열번호 26 내지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FR3, 및 서열번호 29 또는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FR4를 포함하는 VH 도메인을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4 4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0 내지 1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CDRL1, 서열번호 14 내지 16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번호 17 내지 19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CDRL3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5 5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1 내지 3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FR1, 서열번호 34 내지 3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FR2, 서열번호 38 내지 4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FR3 및 서열번호 43 내지 45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FR4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6 6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46 내지 49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 서열번호 50 내지 5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7 7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55 내지 5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59 내지 6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8 8
제 1항에 있어서, AIMP2는 AIMP2 모노머(monomer) 또는 AIMP2 응집체인,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9 9
제 8항에 있어서, AIMP2 모노머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i)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를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ⅱ) 서열번호 11 또는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V 도메인을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10 10
제 8항에 있어서, AIMP2 응집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i)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를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ⅱ)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V 도메인을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11 11
제 8항에 있어서, AIMP2 모노머 및 AIMP2 응집체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i)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를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ⅱ)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를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하는 V 도메인을 포함하는,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12 12
제 1항에 있어서,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은 Fab, Fd, Fab', dAb, F(ab'), F(ab')2, scFv(single chain fragment variable), Fv, 단일쇄 항체, Fv 이량체, 상보성 결정 영역 단편,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및 디아바디(diabod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AIMP2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
13 13
제 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코딩하는 단리된 핵산 분자
14 14
제 13항의 단리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15 15
제 14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
16 16
제 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7 17
제 16항에 있어서, 신경퇴행성 질환은 파킨슨질환, 헌팅턴 질환, 다계통성 신경 위축증,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루게릭 병, 폴리글루타민 확장증, 척수소뇌성 실조증, 척수 및 연수 근육위축, 타우증, 근육긴장 이상, 서핀 결핍증, 경변증, 제 Ⅱ형 당뇨병, 일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이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프론토-일시적 치매, 노인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 유전성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 혈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 황반 퇴화, 치매, 알츠하이머 병, 가족성 AD, 루이소체 치매, 방사선 치료로 유도된 치매, 권투선수 치매, 다운 증후군, 게르스트만-슈트라우슬러 샤인커병, 봉입체 근염, 프리온 단백질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축색 돌기 상해, 급성확산성 피질억제, 알파-시누클레인성 병태, 괌의 파킨슨증-치매 복합증, 신경 섬유 엉킴을 갖는 비-과메니언 운동 뉴런 질환, 은친화성 입자 질환, 피질기저 변성, 석회화가 있는 확산 신경 섬유 엉킴,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증이 있는 전두측두부 치매, 할러포르덴-스파츠병, 뇌졸증, 뇌경색, 머리외상, 뇌동맥 경화증, 뇌허혈, 영구 중뇌 허혈, 말초 신경 재생, 중첩성 간질 후 모델, 척수손상, 니만-피크 병 C형, 팔리도-폰토-니그랄 변성, 픽병, 진행성 피질하 신경아교증, 진행성 핵상 마비,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엉킴만 있는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뇌염후 파킨슨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타우 범뇌병증, 성상세포가 있는 AD 유사증, 노년 심 아밀로이드증, 내분비 종양, 녹내장, 안구 아밀로이드증, 원발성 망막 변성, 시신경 드루젠, 시신경병증, 시신경염, 및 격자 이상증, 산발성루게릭 및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8 18
제 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진단용 조성물
19 19
제 18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진단 키트
20 20
제 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이용하여 대상으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AIMP2 모노머 또는 AIMP2 응집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21 21
제 20항에 있어서, 신경퇴행성 질환은 파킨슨질환, 헌팅턴 질환, 다계통성 신경 위축증,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루게릭 병, 폴리글루타민 확장증, 척수소뇌성 실조증, 척수 및 연수 근육위축, 타우증, 근육긴장 이상, 서핀 결핍증, 경변증, 제 Ⅱ형 당뇨병, 일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이차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프론토-일시적 치매, 노인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 유전성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 혈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 황반 퇴화, 치매, 알츠하이머 병, 가족성 AD, 루이소체 치매, 방사선 치료로 유도된 치매, 권투선수 치매, 다운 증후군, 게르스트만-슈트라우슬러 샤인커병, 봉입체 근염, 프리온 단백질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축색 돌기 상해, 급성확산성 피질억제, 알파-시누클레인성 병태, 괌의 파킨슨증-치매 복합증, 신경 섬유 엉킴을 갖는 비-과메니언 운동 뉴런 질환, 은친화성 입자 질환, 피질기저 변성, 석회화가 있는 확산 신경 섬유 엉킴,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증이 있는 전두측두부 치매, 할러포르덴-스파츠병, 뇌졸증, 뇌경색, 머리외상, 뇌동맥 경화증, 뇌허혈, 영구 중뇌 허혈, 말초 신경 재생, 중첩성 간질 후 모델, 척수손상, 니만-피크 병 C형, 팔리도-폰토-니그랄 변성, 픽병, 진행성 피질하 신경아교증, 진행성 핵상 마비,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엉킴만 있는 치매, 경도 인지 장애, 뇌염후 파킨슨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타우 범뇌병증, 성상세포가 있는 AD 유사증, 노년 심 아밀로이드증, 내분비 종양, 녹내장, 안구 아밀로이드증, 원발성 망막 변성, 시신경 드루젠, 시신경병증, 시신경염, 및 격자 이상증, 산발성루게릭 및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신경퇴행성 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22 22
1) 후보 화합물을 AIMP2 응집체와 반응시키는 단계;2) 제 10항 또는 제 1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이용하여 AIMP2 응집체를 정량화하는 단계; 및 3) 후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AIMP2 응집체의 양이 감소한 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IMP2 응집체 형성을 저해 또는 억제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23 23
1) 후보 화합물을 AIMP2 발현 세포 또는 AIMP2 응집체와 반응시키는 단계;2) 제 1항의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을 가진 단편을 이용하여 AIMP2 발현량 또는 AIMP2 응집체의 양을 정량화하는 단계; 및 3) 후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AIMP2 발현량 또는 AIMP2 응집체의 양이 감소한 화합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성균관대학교 기본연구 루이체 형성 및 병변 전파의 분자기작 연구 및 진단과 제어 전략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저핵 장애 관련 뇌병변 표현 신규 동물 모델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