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상호 연결된 기공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촉매 필름을 갖는 다공성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 기술번호 : KST202200798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개시된 다공성 전극은,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촉매 필름 및 바인더 고분자에 의해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촉매 필름과 계면 결합된 다공성 집전층을 포함한다.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촉매 필름은, 산소 환원 및 발생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물질을 포함하며, 정렬된 기공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공 구조를 개방하는 상면 및 하면을 갖는다.
Int. CL H01M 4/86 (2006.01.01) H01M 8/0234 (2016.01.01) H01M 8/0232 (2016.01.01) H01M 4/88 (2006.01.01) H01M 12/08 (2015.01.01)
CPC H01M 4/8605(2013.01) H01M 4/8668(2013.01) H01M 8/0234(2013.01) H01M 8/0232(2013.01) H01M 4/8875(2013.01) H01M 4/8878(2013.01) H01M 12/0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67454 (2020.12.03)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78188 (2022.06.10)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2.03)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구 달성군 현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석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현가예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강용묵 서울 성북구
4 박미희 서울 성북구
5 조선용 서울 성북구
6 이용민 대구 달성군 현
7 박주남 대구 달성군 현
8 정승원 대구 달성군 현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영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 *층 **세기특허법률사무소 (역삼동, 세일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03 수리 (Accepted) 1-1-2020-1309463-35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3.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산소 환원 및 발생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물질을 포함하며, 정렬된 기공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공 구조를 개방하는 상면 및 하면을 갖는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촉매 필름; 및바인더 고분자에 의해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촉매 필름과 계면 결합된 다공성 집전층을 포함하는 다공성 전극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물질은, 구리, 니켈, 망간, 코발트, 팔라듐, 백금 및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는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는 나피온, PVDF-HFP(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집전층은, 탄소 와이어, 탄소 플레이트 및 탄소 파티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탄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집전층은 금속 메쉬 및 금속 폼(foa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
7 7
제1항 내지 제6항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공성 전극을 포함하는 양극;상기 양극과 이격되며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 및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에 이온을 전달하기 위한 전해질을 포함하는 금속-공기 전지
8 8
도전층을 포함하는 기판 상에 3차원 다공성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전기 도금을 통해 상기 3차원 다공성 주형을 충진하는 단계;상기 3차원 다공성 주형을 제거하여, 역상의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도전층을 제거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을 분리하는 단계;다공성 집전층과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을 접촉시키는 단계;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 상에 바인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바인더 용액을 적하하는 단계; 및상기 바인더 용액을 건조하여 상기 다공성 집전층과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은 산소 환원 및 발생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는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의 함량은 0
12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는 나피온, PVDF-HFP(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13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집전층은 탄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지는, 탄소 와이어, 탄소 플레이트 및 탄소 파티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15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집전층은 금속 메쉬 및 금속 폼(foam)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16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의 표면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을 분리하기 전에 전기연마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을 분리하고,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의 표면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과 결합된 상기 3차원 나노구조 다공성 필름을 불산에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R&D) 푸리에 역계산을 활용한 소재 형상 제어 및 광학 소자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R&D)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반응계면이 극대화된 금속-공기 전지용 3D 공기극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R&D) 카보-올가닉 에너지 소재의 합성 및 고효율 계층화 전극 생산 공정 개발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나노·소재기술개발(R&D) 금속나노입자 기반 복합촉매 소재 원천기술 및 고성능 연료전지 실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