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축성 및 전도성을 갖는 다공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8043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신축성 및 전도성을 갖는 다공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도성 복합재 내부에 형성된 다공성 구조로 인해 연신 시에도 낮은 저항 변화율을 가져 우수한 신축성 및 전기전도성 구현이 가능해 스트레처블 소자에 활용 가능하다.
Int. CL C08K 3/08 (2006.01.01) C08K 5/54 (2006.01.01) C08L 83/04 (2006.01.01) H01B 1/22 (2006.01.01) H01B 5/14 (2006.01.01) H01B 5/1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45312 (2021.10.28)
출원인 한국화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76304 (2022.06.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64364   |   2020.11.3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0.28)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영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정성묵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수연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박정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주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논현동, 건설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0.28 수리 (Accepted) 1-1-2021-1239343-2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신축성 고분자, 전도성 필러 및 친수성 용액을 포함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고분자는 실리콘 계열 고분자,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블록코폴리머(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코폴리머(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s)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코폴리머(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계열 고분자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디에틸실록산(Polydiethylsiloxane), 폴리메틸에틸실록산(Polymethylethylsiloxane), 폴리디페닐실록산(Polydiphenylsiloxane), 폴리메틸페닐실록산(Polymethylphenylsiloxane), 폴리에틸페닐실록산(Polyethylphenylsiloxane) 및 에코플렉스(Ecofle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러는 전도성 금속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고분자는 상기 친수성 용액의 끓는점 이하의 온도에서 고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용매는 상기 친수성 용액의 끓는점보다 낮은 끓는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고분자 20 내지 65 부피%, 상기 전도성 필러 1 내지 20 부피% 및 상기 친수성 용액 5 내지 55 부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용액은 20℃에서 30 dyn/cm 이상의 표면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10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용매는 20℃에서 30 dyn/cm 이하의 표면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1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페이스트 조성물로 제조된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
12 12
제11항에 따른 다공성 신축전도성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13 13
1) 신축성 고분자, 전도성 필러 및 친수성 용액을 혼합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2)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기판에 프린팅하는 단계; 3) 상기 친수성 용액의 증발을 억제한 상태에서 신축성 고분자를 고화시키는 단계; 및4)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열처리하여 친수성 용액의 증발로 인한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성 및 전도성을 갖는 다공성 전극의 제조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신축성 고분자는 열 경화, 용매 증발 또는 UV 경화를 통해 고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15
제13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축성 및 전도성을 갖는 다공성 전극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 IoT 디바이스용 화학소재 기술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화학연구원 함께달리기 저유전소재 및 도전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