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8554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는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동안, 전력거래 기관으로부터의 신뢰성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의 지시 유무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신뢰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러; 상기 제1 시간 구간 외의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동안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 성패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경제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러; 및 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러를 포함한다.
Int. CL H02J 3/32 (2006.01.01) H02J 3/14 (2006.01.01) H02J 7/00 (2006.01.01) G06Q 50/06 (2012.01.01) H02J 3/00 (2006.01.01)
CPC H02J 3/32(2013.01) H02J 3/144(2013.01) H02J 7/007(2013.01) H02J 7/0048(2013.01) G06Q 50/06(2013.01) H02J 3/008(2013.01) H02J 2310/64(2013.01) Y02B 70/3225(2013.01) Y04S 20/22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74521 (2020.12.14)
출원인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84743 (2022.06.2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재성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 공준혁 전라남도 순천시 왕궁길 **,
3 오성문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두호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층(논현동,시그너스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14 수리 (Accepted) 1-1-2020-1355173-1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동안, 전력거래 기관으로부터의 신뢰성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의 지시 유무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신뢰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링 단계;상기 제1 시간 구간 외의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동안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 성패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경제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링 단계; 및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링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2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상기 신뢰성 수요반응 및 상기 경제성 수요반응을 위한 에너지 저장용량과 전기 요금 감축을 위한 에너지 저장용량이 분리된 시스템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3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에 따라 산출되는 충전 또는 방전으로 인한 감가상각비용이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4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 외의 제3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5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신뢰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링 단계는,상기 신뢰성 수요반응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신뢰성 수요반응의 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신뢰성 수요반응의 지시에 따른 감축용량만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6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경제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링 단계는,상기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에 성공한 경우 상기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에 따른 공급용량만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한 후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충전하고, 상기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에 실패한 경우 다음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7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링 단계는,현재 시점으로부터 향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력 수용가의 시간별 소비 전력량과 시간별 전력량 요금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된 총 전력량 요금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8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링 단계는,상기 총 전력량 요금이 동일한 복수의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총 전력량 요금이 동일한 복수의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 중 첨두부하(Peak Load)가 최소인 스케줄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9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링 단계는,상기 총 전력량 요금 및 상기 첨두부하가 동일한 복수의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총 전력량 요금 및 상기 첨두부하가 동일한 복수의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 중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방전 횟수가 최소인 스케줄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10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링 단계는,기 탐색된 첨두부하 발생 시간이 최대부하 시간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최대부하 시간대에서만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고, 상기 첨두부하 발생 시간이 중간부하 시간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최대부하 시간대 및 상기 중간부하 시간대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11 11
기 설정된 제1 시간 구간 동안, 전력거래 기관으로부터의 신뢰성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의 지시 유무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신뢰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러;상기 제1 시간 구간 외의 기 설정된 제2 시간 구간 동안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 성패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경제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러; 및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12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상기 신뢰성 수요반응 및 상기 경제성 수요반응을 위한 에너지 저장용량과 전기 요금 감축을 위한 에너지 저장용량이 분리된 시스템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13 13
청구항 11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에 따라 산출되는 충전 또는 방전으로 인한 감가상각비용이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14 14
청구항 1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 외의 제3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충전하는 시스템 충전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15 15
청구항 11항에 있어서,상기 신뢰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러는,상기 신뢰성 수요반응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신뢰성 수요반응의 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신뢰성 수요반응의 지시에 따른 감축용량만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16 16
청구항 11항에 있어서,상기 경제성 수요반응 기반 스케줄러는,상기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에 성공한 경우 상기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에 따른 공급용량만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한 후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충전하고, 상기 경제성 수요반응의 입찰에 실패한 경우 다음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17 17
청구항 11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러는,현재 시점으로부터 향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력 수용가의 시간별 소비 전력량과 시간별 전력량 요금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산출된 총 전력량 요금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18 18
청구항 17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러는,상기 총 전력량 요금이 동일한 복수의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총 전력량 요금이 동일한 복수의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 중 첨두부하(Peak Load)가 최소인 스케줄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19 19
청구항 18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러는,상기 총 전력량 요금 및 상기 첨두부하가 동일한 복수의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총 전력량 요금 및 상기 첨두부하가 동일한 복수의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 중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방전 횟수가 최소인 스케줄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또는 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20 20
청구항 11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요금 감축 스케줄러는,기 탐색된 첨두부하 발생 시간이 최대부하 시간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최대부하 시간대에서만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고, 상기 첨두부하 발생 시간이 중간부하 시간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최대부하 시간대 및 상기 중간부하 시간대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인공지능중심산업융합집적단지조성(R&D) 에너지 프로슈머 빅데이터 분석 및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P2P 에너지 블록체인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