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층 신축성 기판,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 기술번호 : KST2022008839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신뢰성 및 신축성이 뛰어난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신축성 기판은 하부 및 상부 연성층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옥제틱 구조를 가지는 강성층을 포함하며, 금형을 이용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다층 신축성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소자는 태양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5K 1/02 (2006.01.01) H05K 1/03 (2006.01.01) H05K 3/46 (2006.01.01)
CPC H05K 1/0283(2013.01) H05K 1/0393(2013.01) H05K 1/0298(2013.01) H05K 3/4691(2013.01) H05K 2201/0154(2013.01) H05K 2201/1014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79695 (2020.12.21)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89249 (2022.06.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3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승균 서울특별시 관악구
2 김태경 서울특별시 강남구
3 김우주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피씨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층(삼성동, 송암빌딩Ⅲ)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21 수리 (Accepted) 1-1-2020-1388287-81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1.28 수리 (Accepted) 1-1-2021-0112207-11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1.07.29 수리 (Accepted) 4-1-2021-5205564-29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4.04 수리 (Accepted) 4-1-2022-5079741-7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제1 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부 연성층;제2 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부 연성층; 및상기 하부 연성층 및 상기 상부 연성층 사이에 위치하고 옥제틱 구조를 가지며, 제3 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강성층;을 포함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으로서, 상기 기판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003c#수학식 1003e#상기 수학식 1에서, 는 상기 기판의 포아송비로서, 0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x1은 0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x2는 1 이상 100 이하인 다층 신축성 기판
4 4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3 중합체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우레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이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중합체 화합물 및 제2 중합체 화합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다공성 PDMS, S3-PDMS, PDMS, EcoFlex 00-30 및 EcoFlex 00-10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다층 신축성 기판
6 6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옥제틱 구조는 파형의 보타이 구조인 다층 신축성 기판
7 7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하부 연성층의 두께 및 상기 상부 연성층의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200㎛ 이상 500㎛ 이하인 다층 신축성 기판
8 8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강성층의 두께는 300㎛ 이상 800㎛ 이하인 다층 신축성 기판
9 9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상부 연성층 및 상기 하부 연성층의 영률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강성층의 영률은 1MPa 이상 10MPa 이하인 다층 신축성 기판
11 11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강성층의 포아송비는 0
12 1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상부 연성층 위에 1층 이상의 신뢰성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
13 13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신뢰성층은 방열 기능 및 방수 기능 중 1 이상을 갖는 다층 신축성 기판
14 14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신뢰성층은 금속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
15 15
청구항 13에 있어서,상기 신뢰성층은 소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
16 16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소수성 중합체는 파라핀 왁스, 칸델릴라 왁스 및 비즈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다층 신축성 기판
17 17
옥제틱 패턴을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제3 중합체 화합물 및 제3 경화제를 포함하는 강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금형 위에 상기 강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옥제틱 구조를 갖는 강성층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강성층 위에 제1 중합체 화합물 및 제1 경화제를 포함하는 제1 연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하부 연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하부 연성층이 형성된 강성층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상기 하부 연성층이 형성된 강성층의 반대쪽에 제2 중합체 화합물 및 제2 경화제를 포함하는 상부 연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부 연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18 18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다층 신축성 기판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003c#수학식 1003e#상기 수학식 1에서, 는 상기 기판의 포아송비로서, 0
19 19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옥제틱 패턴을 갖는 금형은 절삭 가공으로 형성되는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0 20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옥제틱 패턴을 갖는 금형은 황동, 알루미늄, 베이크라이트 및 SU-8/실리콘 웨이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로 제조된 것인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1 21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제1 중합체 화합물 및 제2 중합체 화합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다공성 PDMS, S3-PDMS, EcoFlex 00-30 및 EcoFlex 00-10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2 22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제3 중합체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우레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이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3 23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강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강성층의 두께가 상기 금형의 옥제틱 패턴의 높이 이하가 되도록 도포되는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4 24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제1 연성층 형성용 조성물 및 제2 연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각각 하부 연성층 및 상부 연성층의 두께가 200㎛ 이상 500㎛ 이하가 되도록 도포되는 것인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5 25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제1 경화제 내지 제3 경화제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 및 아지리딘계 경화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6 26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하부 연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연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반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7 27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상부 연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연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완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8 28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제1 연성층 형성용 조성물, 강성층 형성용 조성물, 및 제2 연성층 형성용 조성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80℃ 이상 120℃ 이하의 온도에서 20분 이상 40분 이하 동안 경화되는 것인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29 29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상부 연성층 위에 신뢰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신뢰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30 30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금형 위에 상기 강성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자기조립 단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층 신축성 기판의 제조방법
31 31
청구항 1에 따른 다층 신축성 기판; 및상기 신축성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소자
32 32
청구항 31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전자소자는 태양전지인 신축성 전자소자
33 33
청구항 31에 있어서,광활성층; 및 봉지막을 더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소자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R&D) 2축 변형률 제어된 고신뢰성 기판/봉지막 개발 및 광전소자 응용 검증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생분해성 고탄성 금속소재 개발 및 바이오소자 전극 응용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글로벌 연구그룹 육성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