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DEAD-box 단백질 억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2009046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DEAD-box 단백질(DDX) 억제제를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DDX10은 TNF-α 또는 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여, DDX10이 사이토카인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DDX10이 과발현될 경우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가 증가하고, DDX10이 억제될 경우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DDX10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에 필수적인 프로바이러스(proviral)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DDX10 억제제를 통해 DDX10을 억제함으로써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등 상기 DDX10을 B형 간염 치료를 위한 새로운 타겟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38/19 (2006.01.01) A61K 38/21 (2006.01.01) A61P 31/20 (2006.01.01) G01N 33/68 (2006.01.01) C12Q 1/6883 (2018.01.01)
CPC A61K 38/19(2013.01) A61K 38/191(2013.01) A61K 38/217(2013.01) A61P 31/20(2013.01) G01N 33/6893(2013.01) C12Q 1/6883(2013.01) G01N 2500/04(2013.01) G01N 2800/50(2013.01) C12Q 2600/158(2013.01) C12Q 2600/136(2013.01) C12Q 2600/11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85427 (2020.12.29)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94328 (2022.07.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2.29)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균환 서울특별시 송파구
2 김나연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29 수리 (Accepted) 1-1-2020-1423751-2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DDX10(DEAD-box protein 10)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로서,상기 DDX10 억제제는 DDX10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상기 유전자의 mRNA, 및 DDX10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DDX10 억제제는 사이토카인;DDX10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작은 간섭 RNA(siRNA), 짧은 헤어핀 RNA(shRNA), 마이크로RNA(miRNA), 및 RNA 간섭(RNAi); 및DDX10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화합물, 펩타이드, 펩타이드모사체, 기질유사체, 앱타머, 및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사이토카인은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또는 인터페론-감마(IFN-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DDX10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DDX10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DDX10 억제제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 또는 전사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DDX10 억제제는 세포 내 B형 간염 e 항원(HBeAg) 또는 B형 간염 표면 항원(HBsAg)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DDX10 억제제는 DDX10의 도메인(domain) 중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DEAD 도메인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
9 9
제1항의 항 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B형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10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후보물질의 스크리닝 방법:(a) In vitro 상에서 DDX10(DEAD-box protein 10)을 발현하는 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상기 세포 내에서 DDX10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c) 후보물질 처리 전에 비해 상기 DDX10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 발현 수준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후보물질은 뉴클레오티드, DNA, RNA, 아미노산, 앱타머, 단백질, 줄기세포, 줄기세포 배양액, 화합물, 미생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 천연물,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quantitative 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서던 블롯팅(southern blotting),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 효소면역분석법(ELISA),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면역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stry), 및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3 13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B형 간염 발병 위험도 예측을 위한 정보제공방법:(a) 피검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b) 채취된 시료에서 DDX10(DEAD-box protein 10)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c) 상기 DDX10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경우 B형 간염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난치성 간염바이러스의 병인기전 규명 및 항바이러스 작용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