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혈관 생성 억제용 중합 유도 자가조립에 의한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체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2010117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또는 색소 상피 유래인자(pigment epithelial-derived factor, PEDF) 펩타이드; 및 상기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엘라스틴 기반 폴리펩타이드(elastin-based polypeptide, EBP);를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타이드; 및 폴리(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poly(2-hydroxypropyl methacrylate), PHPMA)를 포함하는,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와 이의 자가조립 베시클 나노구조체를 제공한다.
Int. CL A61K 9/51 (2006.01.01) A61K 9/127 (2006.01.01) A61K 49/00 (2006.01.01) A61K 51/12 (2006.01.01) A61K 49/08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11306 (2021.08.24)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26514 (2022.03.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06678   |   2020.08.25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8.24)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동우 서울특별시 서초구
2 강민정 경기도 부천시
3 황은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8.24 수리 (Accepted) 1-1-2021-0972633-8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또는 색소 상피 유래인자(pigment epithelial-derived factor, PEDF) 펩타이드; 및상기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엘라스틴 기반 폴리펩타이드(elastin-based polypeptide, EBP);를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타이드; 및(b) 폴리(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poly(2-hydroxypropyl methacrylate), PHPMA)를 포함하는,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EGF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는, VEGF 수용체인 fms-유사 티로신 키나제-1(fms-like tyrosine kinase-1, Flt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PEDF 펩타이드는, 색소 상피 유래인자 잔기44-77에 해당하고, c-jun-NH2 키나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BP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BP는, 상기 식 1에서 n은 2이고, 상기 반복되는 펜타펩타이드 각각의 X는,알라닌(A), 글리신(G), 이소루신(I)이 1:4:1의 비율로 이루어진 것이거나,또는상기 식 1에서 n은 1이고, 상기 반복되는 펜타펩타이드 각각의 X는,알라닌(A), 글리신(G), 페닐알라닌(F)이 3:1:2의 비율로 이루어진 것인,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는 PHPMA; VEGF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및 EBP가 차례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는 PHPMA; EBP; 및 PEDF 펩타이드가 차례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는 친수성 용매 내에서 자가조립에 의해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
9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를 포함하는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VEGF 수용체 특이적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VEGF 수용체와 비공유결합을 하여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1 11
제9항에 있어서,상기 PED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혈관신생을 위한 세포 내 시그널링을 유도함으로써 세포의 이동 및 튜브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2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은,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조숙아의 망막증, 황반부변성증, 맥락막 신생혈관생성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각막혈관신생에 의한 안구질환, 각막 이식 시의 거부반응, 각막 부종, 각막 혼탁, 암(cancer), 혈관종, 혈관섬유종,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및 건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신혈관 생성에 기인한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13 13
(1)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또는 색소 상피 유래인자(pigment epithelial-derived factor, PEDF) 펩타이드; 및상기 펩타이드에 연결되는 엘라스틴 기반 폴리펩타이드(elastin-based polypeptide, EBP);를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타이드의 N-말단에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개시제를 도입하여 거대개시제(macroinitiator)를 형성하는 단계; 및(2) 상기 거대개시제에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 단량체를 첨가하여 ATRP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혈관 생성 억제용 융합 단백질-고분자 하이브리드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2020Y)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중점연구소지원(이공계분야) 나노센서연구소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중견연구(총연구비0.5억이상~3억이하) 역상전이 거동을 가진 자극 반응성 블록 코폴리펩타이드 및 구조 전환이 가능한 자가 조립된 다기능성 폴리펩타이드 나노구조체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유형1-1)중견연구(연평균연구비 1억원 이내) 표면 부착성과 자극 반응성을 가진 자가조립된 다중 블록 코폴리펩타이드 생체재료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