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Lin28a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2010776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Lin28a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in28a 유전자 또는 Lin28a 단백질; 또는 Lin28a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동일 구성을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Lin28a 유전자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 진단용 조성물, 키트, Lin28a 유전자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및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t. CL A61K 38/17 (2006.01.01) A61P 13/12 (2006.01.01) A23L 33/13 (2016.01.01) A23L 33/17 (2016.01.01) G01N 33/68 (2006.01.01) C12Q 1/6883 (2018.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23663 (2021.02.22)
출원인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08326 (2021.09.0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23253   |   2020.02.25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22)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구 달성군 현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경민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로 ***, ***동 ***호(대구
2 최준혁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돌미로
3 황여진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유한)아이시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층, **층(코아렌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22 수리 (Accepted) 1-1-2021-0213800-6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Lin28a 유전자 또는 Lin28a 단백질; 또는Lin28a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섬유화질환은 세뇨관 간질성 섬유화인,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3
Lin28a 유전자의 또는 Lin28a 단백질; 또는Lin28a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4
Lin28a 유전자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 진단용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in28a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 프로브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Lin28a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하는 것인,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 진단용 조성물
6 6
제4항 또는 제5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 진단 키트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DNA 칩 키트 또는 단백질 칩 키트인 것인,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 진단 키트
8 8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Lin28a 유전자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b) 상기 측정된 mRNA 수준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의 시료로부터 측정된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c)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측정된 mRNA 수준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이 정상 대조군보다 낮은 경우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real time quantitativ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method),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및 DNA 칩 분석법(DNA chip technology assa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인,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수준은 웨스턴 블랏(western blotting),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al 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Ouchterlony immunodiffusion), 로케트 면역전기영동(rocket immunoelectrophoresis),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cal staining),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mmunochromatography), FACS 분석법(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analysis) 및 단백질 칩 분석법(protein chip technology assa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인,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2 12
(a)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 환자에서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후보물질이 처리된 환자의 시료에서 Lin28a의 mRNA 수준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의 시료로부터 측정된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c) 상기 (b) 단계의 mRNA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수준이 후보물질 처리 전보다 증가되는 경우, 후보물질을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또는 신장섬유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과학기술선도기초연구 난치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