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 기술번호 : KST202201288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와 A형, B형, 및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공에 의해 신속/정확한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검출이 가능할 것이며 검출된 바이러스의 특징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게 할 것이며 정확한 바이러스 유행 진단을 통해 보건 및 방역대책 자료에 활용이 가능하다.
Int. CL C12Q 1/70 (2006.01.01)
CPC C12Q 1/701(2013.01) C12Q 2563/10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12076 (2021.01.28)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02529 (2022.07.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04417   |   2021.01.1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1.28)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우주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이한솔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1.28 수리 (Accepted) 1-1-2021-0113231-75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21.09.01 수리 (Accepted) 1-1-2021-1011383-60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5.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서열번호 1 및 3의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2 2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PCR 키트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DNA 중합효소, dNTPs 및 버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PCR 키트
4 4
서열번호 1 및 3의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의 프로브;서열번호 4 및 6의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5의 프로브; 및서열번호 7 및 9의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8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및 C형 감별 검출용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서열번호 10 및 12의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9의 프로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및 C형 감별 검출용 조성물
6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2, 5, 및 8의 프로브는 형광물질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형광물질은 FAM(6-carboxyfluorescein), 텍사스 레드(texas red), 플루오레신(fluorescein), HEX(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플루오레신 클로로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nyl), 로다민 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 로다민(tetramethyl rhodamine),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오레곤 그린(oregon green), 알렉사 플루오로(alexa fluor), JOE(6-Carboxy-4',5'-Dichloro-2',7'-Dimethoxyfluorescein), ROX(6-Carboxyl-XRhodamine), TET(Tetrachloro-Fluorescein), TRITC(tertramethylrodamine isothiocyanate),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시아닌(Cyanine) 계열 염료 및 씨아디카르보시아닌(thiadicarbocyan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및 C형 감별 검출용 조성물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2, 5, 및 8의 프로브는 각각 상이한 파장을 발하는 형광물질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및 C형 감별 검출용 조성물
8 8
제4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및 C형 감별 검출용 PCR 키트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DNA 중합효소, dNTPs 및 버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및 C형 감별 검출용 PCR 키트
10 10
(1)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및(2) 상기 추출된 DNA를 서열번호 1 및 3의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2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객담(sputum), 기관지 흡인(bronchial aspiration) 및 기관지세척액(bronchial washing), 체액(body fluid), 및 혈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2 12
(1)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단계; 및(2) 제4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DNA의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및 C형 감염의 감별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객담(sputum), 기관지 흡인(bronchial aspiration) 및 기관지세척액(bronchial washing), 체액(body fluid), 및 혈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및 C형 감염의 감별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ERC 나노-생체유체 검사 연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