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일체형 생화학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3336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일체형 생화학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생화학 센서는 기준 전극과, 인공 지질막을 구비하는 복수의 작업 전극 및 기준 전극과 복수의 작업 전극 각각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격벽층을 포함한다.
Int. CL G01N 27/327 (2006.01.01) G01N 27/30 (2006.01.01) G01N 27/31 (2006.01.01)
CPC G01N 27/327(2013.01) G01N 27/301(2013.01) G01N 27/31(2013.01) G01N 33/48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71389 (2020.12.09)
출원인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81658 (2022.06.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2.09)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구 달성군 현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경인 서울특별시 금천구
2 예준우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
3 정한희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연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호(문정동, 문정대명벨리온)(시안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09 수리 (Accepted) 1-1-2020-1335671-80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4.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준 전극; 인공 지질막을 구비하는 복수의 작업 전극 및상기 기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작업 전극 각각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격벽층을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지질막은,상기 인공 지질막에 대응되는 생화학 이온과의 화학 반응에 기초하여 막전위가 변화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3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작업 전극 중 상기 막전위가 변화된 인공 지질막을 구비하는 작업 전극과 상기 기준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상기 생화학 이온을 감지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업 전극 각각은, 작업 전극층, 안정화층 및 상기 작업 전극층과 상기 인공 지질막 사이의 전기적 연결성을 향상시키는 전해질층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안정화층은, 은(Ag), 염화 은(AgCl) 및 PVB(polyvinyl butyr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전해질층은, pHEMA(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및 PEDOT:P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격벽층은, 상기 복수의 작업 전극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하부 봉지층, 상기 복수의 작업 전극 각각과 상기 기준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봉지층 및 상기 기준 전극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상부 봉지층을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작업 전극은, 제1 인공 지질막을 통해 짠맛에 대응되는 생화학 이온을 검출하는 제1 작업 전극과, 제2 인공 지질막을 통해 쓴맛에 대응되는 생화학 이온을 검출하는 제2 작업 전극과, 제3 인공 지질막을 통해 단맛에 대응되는 생화학 이온을 검출하는 제3 작업 전극 및 제4 인공 지질막을 통해 신맛에 대응되는 생화학 이온을 검출하는 제4 작업 전극을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인공 지질막은, 테트라도데실 암모늄(tetradodecyl ammonium), 브로마이드 1-헥사데카놀(bromide 1-hexadecanol) 및 디-n-옥틸 페닐포스포네이트(di-n-octyl phenylphosph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일체형 생화학 센서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2 인공 지질막은, 메틸 트리옥틸 암모늄 클로라이드(methyl trioctyl ammonium chloride) 및 디-n-옥틸 페닐포스포네이트(di-n-octyl phenylphosph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11 11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3 인공 지질막은, 테트라도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dodecyl ammonium bromide) 및 디-n-옥틸 페닐포스포네이트(di-n-octyl phenylphosph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12 12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4 인공 지질막은, 메틸 트리옥틸 암모늄 클로라이드(methyl trioctyl ammonium chloride), 올레인산(oleic acid), 비스 (2-에틸헥실) 포스파이트(bis (2-ethyl hexyl) phosphate) 및 디옥틸 페닐포스포네이트(dioctyl phenyl phosph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
13 13
복수의 작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작업 전극층 각각과 기준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 봉지층 상에 상기 기준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 봉지층 상에 상기 기준 전극층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상부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작업 전극층 상에 인공 지질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의 제조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지질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작업 전극층 및 상기 기준 전극층 상에 안정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정화층이 형성된 복수의 작업 전극층 및 상기 안정화층이 형성된 기준 전극층 상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질층이 형성된 복수의 작업 전극층 상에 상기 인공 지질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생화학 센서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휴먼플러스융합연구개발챌린지사업(R&D) 오감기관 모방 기반 인공 감각 센서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층간 열응력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기능성 소자의 서브미터스케일 건식 전달인쇄 및 이를 이용한 전자두피 및 전자피부 연구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나노·소재기술개발(R&D) 항시 혈류량 측정용 부착형 소자를 위한 다중물리모델 구축 및 맞춤형 패키징 기술을 통한 전자피부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