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포도당 측정용 종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366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포도당에 대한 선택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킨 포도당 측정용 종이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도당 측정용 종이 센서는 MDC 기술을 사용하여 종이에 흡착되는 전도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양을 증가시켰으며, 표면에 흡착되는 물질의 순서를 최적화하여 감지 속도를 증가시켰고 세포막을 코팅하여 포도당에 대한 선택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킨바 다양한 시료에서 포도당을 정확하고 빠르게 검출할 수 있다.
Int. CL C12Q 1/54 (2006.01.01) C12Q 1/26 (2006.01.01) B01L 3/00 (2006.01.01)
CPC C12Q 1/54(2013.01) C12Q 1/26(2013.01) B01L 3/5023(2013.01) B01L 2300/16(2013.01) B01L 2300/126(2013.01) B01L 2300/082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58647 (2020.11.24)
출원인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71479 (2022.05.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1.24)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규도 세종특별자치시
2 이태하 세종특별자치시
3 노석범 세종특별자치시
4 정다연 세종특별자치시
5 김인수 세종특별자치시
6 윤대성 세종특별자치시
7 홍유찬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순환로 ***, ***호 (한국기계연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순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에이스테크노타워*차 ***-*호(특허법인정진)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1.24 수리 (Accepted) 1-1-2020-1262580-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전도성 고분자, 산화환원 중간체, 포도당 산화효소 및 세포막이 표면에 코팅된 포도당 측정용 종이 센서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설퍼나이트라이드, 폴리피닷(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센서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산화환원 중간체는 페로센(ferrocene), 메탈로센(metallocene), 로도센(Rhodocene), 로도세니움(Rhodocenium), 이리도세니움(Iridocenium), 오스모신(osmocene), 페리시아나이드(ferricyanide), 코발티시아나이드(cobalticyanide), 루테노시아나이드(ruthenocyanide), 퀴논(quinone), 퀴닌(quinine), TTF(tetrathialfulvalene),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tetracyanoquinodimethane, TCNQ), 티오닌(thionin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센서
4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세포막은 적혈구 또는 암세포로부터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센서
5 5
종이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 상에 산화환원 중간체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산화환원 중간체 박막 상에 포도당 산화효소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포도당 산화효소 박막 상에 세포막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측정용 종이 센서의 제조 방법
6 6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은 종이를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한 후 건조하는 것을 5회 이상 수행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7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침지는 10초 내지 1분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8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용액은 전도성 고분자와 인산완충생리식염수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증류수(Distilled Water, DW) 및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9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세포막은 적혈구 또는 암세포로부터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10
청구항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포도당 측정용 종이 센서
11 11
시료와 청구항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포도당 측정용 종이 센서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당 측정 방법
12 12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시료는 소변(urine), 전혈(whole blood), 혈장(plasma), 혈청(serum), 객담(sputum), 눈물(tears), 점액(mucus), 세비액(nasal washes), 비강 흡인물(nasal aspirate), 호흡(breath), 정액(semen), 침(saliva), 복강 세척액(peritoneal washings), 복수(ascites), 낭종액(cystic fluid), 뇌척수막 액(meningeal fluid), 양수(amniotic fluid), 백혈구(leukocytes), 말초혈액 단핵 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백혈구 연층(buffy coat), 선액(glandular fluid), 췌장액(pancreatic fluid), 림프액(lymph fluid), 흉수(pleural fluid), 유두 흡인물(nipple aspirate), 기관지 흡인물(bronchial aspirate), 활액(synovial fluid), 관절 흡인물(joint aspirate), 기관 분비물(organ secretions), 세포(cell), 세포 추출물(cell extract) 및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측정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노화 진행도 도출 및 항노화 물질 효능 평가를 위한 PeakForce-tapping 나노기술을 이용한 염색체 텔로미어 분석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이공계전문기술인력양성(R&D) KU Sejong 실전문제 연구단
3 행정안전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재난안전산업육성지원(R&D) 대구 폭염재난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온열질환감지 IoT 플랫폼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