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에너지 하베스터

  • 기술번호 : KST2022014043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에너지 하베스터가 개시된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태양 전지가 축전기에 전압을 충전하면서, 전류 미러 방식으로 태양 전지의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V)을 계산하는 전류-전압 컨버터, 전류-전압 컨버터에서 계산된 출력 전압을 램프 전압과 비교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전류를 생성하는 전압-PWM 컨버터, 전류-전압 컨버터의 출력 전압(V)과 PWM 전류를 곱하여 태양 전지의 출력 전력(P)을 결정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analog multiplier),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로부터 출력 전력(P)을 최대 전력 값과 비교하여 최대 출력 전력을 실시간을 측정하고, 최대 출력 전력을 내는 태양 전지의 전압(VMPP)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샘플-홀드(sample-hold) 회로, 태양 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과 샘플-홀드에서 구한 VMPP을 이용하여 n-bit의 디지털 비트로 생성하는 α-생성기, 및 복수의 축전기들을 포함하며, α-생성기의 n-bit의 디지털 비트와 개방 회로의 전압을 이용하여, 축전기들에 충전 및 전하 재분배하는 FOCV(fractional open-circuit voltage) 회로를 포함한다.
Int. CL G05F 1/67 (2006.01.01) G05F 3/2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61623 (2021.05.12)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425925-0000 (2022.07.22)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220728)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11770   |   2021.01.27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5.12)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용신 서울특별시 동작구
2 임윤찬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홍석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구로동, 코오롱싸이언스밸리*차)(동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12 수리 (Accepted) 1-1-2021-0551563-79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2.07.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528827-7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태양 전지의 출력을 축전기에 충전하면서, 전류 미러 방식으로 상기 태양 전지의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V)을 계산하는 전류-전압 컨버터;상기 전류-전압 컨버터에서 계산된 상기 출력 전압을 램프 전압과 비교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단일 펄스를 생성하는 전압-PWM 컨버터;상기 전류-전압 컨버터의 상기 출력 전압(V)과 상기 PWM 단일 펄스를 곱하여 상기 태양 전지의 출력 전력(P)을 결정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analog multiplier);상기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P)을 최대 전력 값과 비교하여 최대 출력 전력을 실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최대 출력 전력을 내는 상기 태양 전지의 전압(VMPP)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샘플-홀드(sample-hold) 회로;상기 태양 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과 상기 샘플-홀드에서 구한 상기 VMPP을 이용하여 n-bit의 디지털 비트로 생성하는 α-생성기; 및복수의 축전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α-생성기의 상기 n-bit의 디지털 비트와 상기 개방 회로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축전기들에 충전 및 전하 재분배하는 FOCV(fractional open-circuit voltage) 회로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류-전압 컨버터에서, 상기 출력 전압(V)은 상기 태양 전지에서 감지된 전류에 저항을 곱하여 구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압-PWM 컨버터에서, 상기 전류가 클수록 단일 펄스의 폭이 넓고, 상기 전류가 작을수록 상기 단일 펄스의 폭이 좁은 에너지 하베스터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샘플-홀드 회로는 복수의 축전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 전력이 상기 최대 전력 값보다 크면,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축전기들 중 하나에 저장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α-생성기는 8-bit를 생성하고,상기 VMPP을 상기 개방회로 전압으로 나눈 α 값을 만족하는 α003c#7:0003e#을 생성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전자부품연구원 전자부품산업핵심기술개발(R&D) Multi-Source 에너지 응집 하베스팅 및 초저전력 구동 Self-Powered IoT 디바이스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