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디카르복실산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디카르복실산 생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4815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지방산으로부터 디카르복실산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디카르복실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형질전환 미생물은 지방산을 디카르복실산으로 생체 내 변환하는 과정에서 자일로오스 환원효소를 이용하여 자일리톨 변환을 통해 보조인자 재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ω-산화경로를 이용한 디카르복실산 생산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형질전환 미생물은 높은 기질 전환율을 보일 뿐만 아니라 디카르복실산의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형질전환 미생물은 디카르복실산을 생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C12N 15/70 (2006.01.01) C12N 9/04 (2006.01.01) C12N 9/02 (2006.01.01) C12N 9/96 (2006.01.01) C12N 15/52 (2006.01.01) C12P 7/44 (2006.01.01)
CPC C12N 15/70(2013.01) C12N 9/0006(2013.01) C12N 9/0042(2013.01) C12N 9/0071(2013.01) C12N 9/96(2013.01) C12N 15/52(2013.01) C12P 7/44(2013.01) C12Y 114/14001(2013.01) C12Y 106/02004(2013.01) C12Y 101/0130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049113 (2018.04.27)
출원인 울산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019280-0000 (2019.09.02)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9090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04.27)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성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2 찬드란 사테쉬 프라부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제일특허법인(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마방로 ** (양재동, 동원F&B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4.27 수리 (Accepted) 1-1-2018-0421443-45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12.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01.31 수리 (Accepted) 9-1-2019-0005097-92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2.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117941-54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4.17 수리 (Accepted) 1-1-2019-0395307-23
6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19.04.17 수리 (Accepted) 1-1-2019-0395321-63
7 [출원서 등 보정(보완)]보정서
2019.04.17 수리 (Accepted) 1-1-2019-0395320-17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8.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603208-27
9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19.08.23 수리 (Accepted) 1-1-2019-0867578-72
10 [출원서 등 보완]보정서
2019.08.23 수리 (Accepted) 1-1-2019-0867577-26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3 수리 (Accepted) 4-1-2020-5148444-43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8.20 수리 (Accepted) 4-1-2020-5186266-0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시토크롬 P450 모노옥시게나제와 시토크롬 450 환원효소의 결합 유전자(CYP-NCP) 및 자일로오스 리덕타아제(XR)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미생물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CYP-NCP 유전자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XR 유전자는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인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4 4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3 또는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인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이 fadE 및 fadR 유전자를 넉 아웃(knock out)시킨 대장균인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6 6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미생물이 AlkL 유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7 7
제 6항에 있어서,상기 AlkL 유전자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인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8 8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미생물이 ADH1 유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9 9
제 8항에 있어서,상기 ADH1 유전자가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인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10 10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미생물이 ALD5 유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11 11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ALD5 유전자가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인 것인, 형질전환 미생물
12 12
(a) 제1항의 형질전환 미생물을 배양하고, 휴지기 상태의 미생물을 수확하는 단계; 및(b) 휴지기 상태의 형질전환 미생물 배양액에 C10, C12, C14, C16, C16:1, C18 및 C18: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생산방법
13 13
제 12항에 있어서,5-아미노레불린산(aminolevulinic acid, ALA), 티오우레아, 인산 완충액, 항생제, 트윈80, 미량원소 용액 및 이의 조합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생산방법
14 14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배양이 25 내지 37℃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생산방법
15 15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배양이 글루코스, 자일로오스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기질(co-substrate)의 존재 하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카르복실산 생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촌진흥청 울산과학기술원 차세대바이오그린21(R&D) 화장품 원료용 디카르복실산 대량 생산 균주 및 생산공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