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를 이용한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인공혈관

  • 기술번호 : KST2022014916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를 이용한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인공혈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를 포함하는 제1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1 구조물들을 형성하는 단계;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포함하는 제2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조물들 사이에 제2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피브리노겐(Fibrinogen)을 포함하는 제3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조물들과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원하는 패턴으로 제3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조물들, 제2 구조물 및 제3 구조물을 둘러싸는 제4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구경 인공혈관을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A61L 27/50 (2006.01.01) A61L 27/38 (2006.01.01) A61L 27/22 (2006.01.01) A61L 27/20 (2006.01.01) A61F 2/06 (2006.01.01) B33Y 70/10 (2020.01.01) B33Y 80/00 (2015.01.01)
CPC A61L 27/507(2013.01) A61L 27/3808(2013.01) A61L 27/225(2013.01) A61L 27/20(2013.01) A61F 2/062(2015.07) B33Y 70/10(2020.01) B33Y 80/00(2015.01) A61F 2240/0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25603 (2017.09.27)
출원인 울산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1949846-0000 (2019.02.13)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9021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9.27)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현욱 울산광역시 울주군
2 홍성준 울산광역시 울주군
3 손정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호,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9.27 수리 (Accepted) 1-1-2017-0948966-37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7.12.28 수리 (Accepted) 1-1-2017-1306473-84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7.12.28 수리 (Accepted) 1-1-2017-1306810-78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06.1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08.07 수리 (Accepted) 9-1-2018-0039774-90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2.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088290-6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3 수리 (Accepted) 4-1-2020-5148444-43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8.20 수리 (Accepted) 4-1-2020-5186266-0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내피세포(Endothelial Cell)를 포함하는 제1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1 구조물들을 형성하는 단계;섬유아세포(Fibroblast)를 포함하는 제2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조물들 사이에 제2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피브리노겐(Fibrinogen)을 포함하는 제3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조물들과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원하는 패턴으로 제3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제1 구조물들, 제2 구조물 및 제3 구조물을 둘러싸는 제4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3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제2 구조물이 상기 제3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제1 구조물들 각각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3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4 구조물은, 상기 제3 바이오 잉크에 포함된 피브리노겐의 농도와 상이한 농도의 피브리노겐을 포함하는,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3 구조물에 포함된 피브리노겐의 농도는, 상기 제4 구조물에 포함된 피브리노겐의 농도보다 낮은,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4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피브리노겐, 트롬빈(Thrombin) 및 염화칼슘(CaCl2)을 혼합하여, 상기 제3 바이오 잉크에 포함된 피브리노겐의 농도와 상이한 농도의 피브리노겐을 포함하는 피브린 겔(Fibrin Gel)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제1 구조물들, 제2 구조물 및 제3 구조물을 상기 제조된 피브린 겔로 덮는 단계; 및상기 피브린 겔로 둘러싸인 제1 구조물들, 제2 구조물 및 제3 구조물을 기설정된 조건 하에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은,상기 제1 구조물들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상기 제1 내지 제3 바이오 잉크들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오 잉크들을 제조하는 단계는,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젤라틴(Gelatin), 글리세롤(Glycerol) 및 인간 제대 정맥 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을 혼합하여 상기 제1 바이오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오 잉크들을 제조하는 단계는,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젤라틴(Gelatin), 알지네이트(Alginate) 및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를 혼합하여 상기 제2 바이오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오 잉크들을 제조하는 단계는,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젤라틴(Gelatin), 글리세롤(Glycerol) 및 피브리노겐(Fibrinogen)을 혼합하여 상기 제3 바이오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10 10
제1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
11 11
제1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 내에 포함된 내피세포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인공혈관의 제조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내피세포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는,상기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를 세포 배양액에 투입하는 단계; 및상기 세포 배양액에 투입된 인공혈관 제조를 위한 구조체를 기설정된 조건 하에 정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인공혈관의 제조방법
13 13
제11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인공혈관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인공혈관은,상기 제3 구조물의 패턴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혈관 네트워크(vascular network);를 포함하는,인공혈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의료기술개발 미세 혈관 내재형 간 조직 모사체 프린팅 기술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조직재생기술개발 바이오프린팅 기반 생체모방 췌도 제작 및 최적화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