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공중 부유형 탄소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3ω 방법 기반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5372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공중 부유형 탄소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3방법 기반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 제조 방법은 (a) 실리콘 웨이퍼 상면에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형성된 제1 절연층에 포토레지스트 Spin 코팅을 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 의해 코팅된 상면에 포토마스크와 UV 노출을 통해 공중 부유형 포토레지스트 와이어와 전극 기둥부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공중 부유형 포토레지스트 와이어와 전극 기둥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공중 부유형 포토레지스트 와이어와 전극 기둥부를 열분해하여 공중 부유형 탄소 와이어 및 탄소 전극으로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부유형 탄소 나노와이어에 교류를 인가하여 발생한 열과 주변 가스로의 열손실에 의해 결정되는 탄소 나노와이어의 온도 변화에 따른 탄소 나노와이어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외부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가스 측정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Int. CL G01N 27/12 (2006.01.01) G01N 27/414 (2006.01.01) H01L 21/02 (2006.01.01) H01L 29/06 (2006.01.01) H01L 21/027 (2006.01.01)
CPC G01N 27/127(2013.01) G01N 27/4146(2013.01) H01L 21/02603(2013.01) H01L 29/0669(2013.01) H01L 21/027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059560 (2019.05.21)
출원인 울산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134042 (2020.12.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2.17)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신흥주 울산광역시 울주군
2 이재선 울산광역시 울주군
3 조우택 울산광역시 울주군
4 이승욱 울산광역시 울주군
5 이준범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백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이노플렉스 *차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5.21 수리 (Accepted) 1-1-2019-0520662-16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3 수리 (Accepted) 4-1-2020-5148444-43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8.20 수리 (Accepted) 4-1-2020-5186266-03
4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2.17 수리 (Accepted) 1-1-2022-0180132-4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실리콘 웨이퍼 상면에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형성된 제1 절연층에 제1 포토레지스트 Spin 코팅을 하는 단계,(c) 상기 (b)단계에 의해 코팅된 상면에 포토마스크와 UV 노출을 통해 공중 부유형 포토레지스트 와이어와 전극 기둥부를 형성하는 단계,(d) 상기 공중 부유형 포토레지스트 와이어와 전극 기둥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공중 부유형 포토레지스트 와이어와 전극 기둥부를 열분해하여 공중 부유형 탄소 와이어 및 탄소 전극으로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f) 상기 (e)단계에 의해 변형된 공중 부유형 탄소 와이어와 탄소 전극 상면에 제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g) 상기 (f)단계에 의해 형성된 제2절연층 상면에 포토레지스트 Spin 코팅을 하는 단계,(h) 상기 (g)단계에 의해 코팅된 면을 포토리쏘그래피를 통해 탄소 전극 윗면과 제 2절연층이 접하는 영역상의 제2 절연층을 노출하는 단계, 그리고 (i) 상기 (h)단계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2 절연층을 식각하여 전극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의 제조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a)단계에서,상기 제1 절연층은 Wet oxidation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가스센서의 제조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는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코팅되는 가스센서의 제조 방법
5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제2 절연층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가스센서의 제조 방법
6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상기 제2 포토레지스트는 파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코팅되는 가스센서의 제조 방법
7 7
실리콘 웨이퍼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탄소전극,상기 복수의 탄소전극 상부를 연결하는 공중 부유형 탄소와이어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공중 부유형 탄소와이어에 교류를 인가하여 가열하고, 상기 교류의 주파수에 따른 탄소 나노와이어의 저항을 측정하여 가스 기체의 종류 및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울산과학기술원 차세대초소형IoT기술개발(R&D) Disposable IoT 환경 및 생체신호 나노센서 개발